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제 10 회 세계한글작가대회 - 기조강연, 주제발표 1, 주제발표 2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10월 30일(수) _ 기조강연, 주제발표 1, 주제발표 2 기조강연 – 한글과 한국문학 [사 회] 김종회 집행위원장(문학평론가) 기조강연 1: 도종환(시인,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시에게 길을 묻다” 기조강연 2: 알브레히트 후베(한글학자, 독일 본 대학교 명예교수) “한글의 잠재력과 확장성” 기조강연 3: 권재일(한글학회재단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글, 세계로 나아가자” 주제발표1 – 한글과 한국문학의 회고와 전망 [좌장] 장재선(시인, 문화일보 국장) [발 제 1] 김슬옹(한글학자, 세종국어문화원 원장) “한글과 한국문학의 회고와 전망” [지정토론1] 김영중(수필가, 미국) [발제 2] 김재용(문학평론가, 원광대학교 교수) “남북의 통합과 북한문학” [지정토론2] 박우민(시인, 영국) [발 제 3] 림관헌(일리노이주립대학 President’s Council Member) “한국문학의 뿌리를 찾아서” [지정토론3] 이승희(시인, 미국) [발 제 4] 오형엽(문학평론가, 고려대학교 교수) “이상 수필의 주제와 기법” [지정토론4] 이정순(시인, 캐나다) [발 제 5] 김응교(시인,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2024년 노벨문학상과 한 강이라는 게이트웨이” 주제발표2 – 한글과 한국문학의 현재와 미래 [좌장] 정우영(시인, 전 국립한국문학관 사무국장) [발 제 1] 곽효환 (시인, 전 한국문학번역원 원장)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서 세계 문학으로서의 한국 문학으로” [지정토론] 황미광(시인, 미국) [발 제 2] 방민호 (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교수) “작가 한강의 채식주의자“ [지정토론] 서정희(시인, 독일) [발 제 3] 방현석 (소설가, 중앙대학교 교수) “언어와 이야기가 만들어온 세상” [지정토론] 김영숙(시인, 미국) [발 제 4] 이승하 (시인, 중앙대학교 교수) “북한 현대시의 모습과 남북한 한글 사용의 차이“ [지정토론] 윤관호(시인,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