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염파 인상여 열전(1) 사마천사기 인문학 고전 문경지교 화씨벽 완벽 고사성어 추천도서 용감함 지혜로움 인문학강의 역사이야기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인문학 고전 읽기 사마천 사기 염파. 인상여 열전 1. 서문 세상을 살며 필요한 것은 지혜다. 하지만 거기에 용기까지 갖추면.... 우린 지용(智勇)이라 말한다. 오늘 이야기의 주인공 인상여를 말한다. 이번 열전은 중국 전국시대 진나라의 강한 위협에도 굴하지 않고 맞선 조나라 충신 인상여와 염파 장군 이야기입니다. 2. 주제 죽음을 각오한 용기는 불가항력을 이겨 낼 수 있다. 3. 고사성어 연성지치(連城之値) (이어질 연, 성 성, 의 지, 값 치) (15개 성과 화씨벽) 여러 성에 해당하는 값이라는 뜻으로, 굉장한 가치를 지닌 물건에 비유하는 말이다. 완벽(完璧) (완전할 완, 옥 벽) (화씨벽) 흠이 없는 옥. 즉 아무런 흠이 없는 뛰어난 것을 가리킴. 부형청죄(負荊請罪) (질 부, 가시나무 형, 청할 청, 허물 죄) (염파의 인상여에 대한 오해) '가시나무를 등에 지고 때려 달라고 죄를 청한다'라는 뜻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처벌해줄 것을 자청한다는 말이다. 육단부형(肉袒負荊)이라고도 한다. 문경지교(刎頸之交) (목벨 문, 목 경, 갈 지, 사귈 교) (인상여와 염파) 서로 죽음을 함께 할 수 있는 막역한 사이를 이르는 말. 4. 배경 및 소개 이번 열전은 중국 전국시대 진나라 세력이 확장되는 혼란한 시기에 조나라를 위해 힘쓴 인물들... 인상여, 염파, 조사, 이목, 허럭(군사), 조괄의 모친 등을 소개하고 있다. 5. 책 내용 인상여 이야기 ①진나라 소왕이 조 혜왕에게 편지로 화씨벽 요구 : 성 15개와 화씨벽을 바꾸자. 연성지치(連城之値) (이어질 연, 성 성, 의 지, 값 치) (15개 성과 화씨벽) 여러 성에 해당하는 값이라는 뜻으로, 굉장한 가치를 지닌 물건에 비유하는 말이다 화씨벽 소개 춘추 시대 초(楚) 나라에 변화(卞和)라는 사람 왕이 좋아하시겠지... 초나라 임금은 여왕(厲王) 보석 공 돌 왼발 절단 다음대 무왕 보석 공 돌 오른발 절단 산으로 들어가 울며 보석돌을 지킴 이야기들은 문왕 사정을 듣고 보석을 가공시킴, 화씨벽 명명 조나라 우려 : 주자니 빼앗기고 말고, 안 주자니 침략당할 것 같고...(대신 회의에서 환관 무현이 사인 인상여 소개 "지혜로운 그를 진나라에 보내시죠") 왕이 무슨 근거로? : 무현이 연나라 달아나려다 인상여에게 설득당하고 포기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조강 연약 : 가봐야 다시 끌려오게 되어 있다. 차라리 현 왕에게 자백하고 용서받아라. 무현은 실제로 그리하여 용서 받음) 이러하듯 용감하고 지혜로운 인상여 사신으로 보내라고 추천함. 왕이 인상여를 만난다 (진강 조약이니 안 줄 수 없다. 그러다 성 못 받으면? 보석 건네지 않으면 조의 잘못이 되고 보석 주고 성 못 받으면 진의 잘못. 그러니 잘 못은 진에게 덮어 씌우는 게 낫다.) 누가 사신으로 가면 좋을까? 내가 가겠소... 성을 받으면 화씨벽 두고 오고 , 안 그러면 온전히 가져오겠소. 진나라에서의 일 진에 도착한 상여가 화씨벽을 주자 돌려보기(궁녀 신하등), 신하는 만세. 음... 성 줄 마음이 없구나.... (완벽(璧) (완전할 완, 옥 벽) (화씨벽) 흠이 없는 옥. 즉 아무런 흠이 없는 뛰어난 것을 가리킴. ) 흠집을 알려주겠다 돌려받고 기둥 가까이서 버럭 열 받아 조나라에서 있었던 일(진에 속는 것이다)을 말하며 그래도 진나라와 사귀려면 그러면 안된다. 하고 조왕을 설득 조왕은 재계하고 날 보내온 건데.. 진왕은 별궁서 예절 없고 신을 희롱 하며 대하며 성 줄 생각 없다보고 만약 날 위협하면 이 화씨벽과 내 머리를 기둥에 부딪쳐 깨고 말 것이다. 말함. 진왕은 깨질까 두려워 신하 불러 지도 펴고 여기 주고 저기 주고 주저리주저리..... 웃기는 행각이네.... 차라리 이것 받고 싶으면 조왕처럼 닷새간 재계하라 그럼 주겠다. 그사이 사인을 통해 보옥을 조로 돌려보냄. 진왕은 닷새 후 예를 갖추어 받으려 준비했으나 인상여는 이미 돌려보냈다 말하고 진은 목공 이후 약속 지킨 왕이 없다며 진강조약의 형편에 조는 진의 요구를 당장 들었으나 진은 조를 속이려 했다. 강한 진이 먼저 땅을 떼어줘야 맞다고 본다. 그러니 날 죽여다오... 그리고 당신 신하와 이 일을 상의해보라.... 진왕은 널 죽인다고 화씨벽 받긴 글렀고 조진 우호를 위해 그리고 조왕이 화씨벽 하나로 날 조롱하겠는가 하며 살려 조로 돌아가게 해 준다... 돌아온 상여는 상대부로 승진 (당시 염파는 더 높은 상경) 진나라 강자의 요구는 불발되었고 약소국 조나라는 인상여의 협상은 지혜와 용기로부터 기인했다. ②왕대 왕 (진나라 소왕 Vs 조나라 혜왕) 진이 조를 쳐서 땅을 빼앗고 조왕에게 서하 남쪽에서 만나 화친합시다. 했다. 조왕은 두려워했으나 염파와 상여가 그렇다고 안 가면 비겁하단 소리 들으니 그래도 가야 한다 결론. 상여는 왕을 수행하고, 염파 장군은 혹시 모르니 만약을 대비해 태자를 준비하기로 약속하고 떠남. 진과 조왕이 만나 연회에서 진왕이 거만하게 조나라 왕 보고 거문고 좀 연주해 달라 청한다. 그리고 사관(어사)에게 기록하게 한다. 이에 상여가 진 소왕에게 "당신도 악기 잘 다룬다 소리 들었소 분부(타악기)를 좀 두둘겨 주시면 서로 흥이 더 오르겠지요"하며 분부를 들고 가까이 다가가 부탁한다. 이에 소왕이 화를 내자 오히려 " 둘 사이 다섯 걸음도 못된다. 내 목에 피가 튀어도 들어야겠소이다"라며 위협하자 마지못해 진왕이 분부를 두 번 툭툭 치니 바로 조나라 기록관에게 "적어!"라고 대응한다. '모년 모월모 일모시에 진왕이 조왕 앞에서 분부를 두두리다.' 진 신하가 조왕에게 : 조나라 성 15개를 바쳐 진왕 장수를 축복해주시오!" 조 인상여가 진왕에게 : 진 수도 함양을 조에바쳐 조왕 장수를 축복해주시오!" 당시 양쪽 군사가 대치중이라 누구도 함부로 할 수 없었다. 이후 돌아와 조왕은 상여를 상경으로 승진시켜 염파보다 높은 지위가 되었다. ③염파와 인상여 이야기 염파의 불만 "난 조장군으로 전쟁에서 공, 상여는 편히 잎으로만 했는데 공. 그러면서도 나와 같은 지위?" 출신과 공로가 높은데도 그 밑에서 자존심 상해 못 있겠다. 상여 만나면 모욕을 줘야지..... 이를 안 상여는 염파의 눈 피하기, 자리 피하기, 숨기 등등 이를 안 사인이 당신 보고 섬겨왔는데 염파가 두려워 이리 비굴하게 굴면 차라리 우린 떠나련다. 하자 상여는 그대는 진왕과 염파 중 누가 더 두려운가? 묻자 그들은 "진왕!"이라 대답한다. 내가 진나라 왕에게도 꿀리지 않은 사람인데 염파가 두려워 그러겠는가?. 진은 염파와 나 때문에 조나라를 치지 못하는데 이 호랑이 두 마리가 싸우면 둘 다 죽소! 나는 개인의 사사로운 감정보다 국익이 우선이오... 그래 그러오..... 이 말을 들은 염파는 (부형청죄(負荊請罪) (질 부, 가시나무 형, 청할 청, 허물 죄) '가시나무를 등에 지고 때려 달라고 죄를 청한다'라는 뜻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처벌해줄 것을 자청한다는 말이다.) 인상여에게 사죄하고 서로 화해하고 죽음을 갖이하기로하는 벗이 되었다. (문경지교(刎頸之交) (목벨 문, 목 경, 갈지, 사귈 교) 서로 죽음을 함께 할 수 있는 막역한 사이를 이르는 말.) 7.태사공평 죽음을 각오하면 용기가 난다. 죽는 것이 어려운 게 아니라 죽음에 대처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인상여가 기둥을 바라보며 화씨벽을 안고 있는 형세는 죽음뿐이었다. 하지만 용기를 내자 진왕과 그 신하에게도 위세를 떨쳤고 고국에 돌아와서는 염파에게 국익을 위해서 겸손히 양보하니 그의 이름도 무거워졌다. 지혜+용기 지용의 힘이다. 8.총평 화씨벽을 알아본 변화의 불굴의 진념 평가 인상여가 발휘한 용기의 힘. 자신감. 본받을 만하다. 염파의 시기심을 겸허히 받아넘기는 인상여의 겸손된 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