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Fault Locator to Recover Railways Fast and Efficiently [전차선로 빠르고 효율적인 복구를 위한 고장점 표정장치]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KRRI commercializes fault localization device that pinpoints fault location on catenary for AREX Quick and efficient repair and restoration of faulty catenary -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RRI) commercialized its catenary fault localization for AC electric railway technology and applied it to AREX, a rail line that runs to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fault localiz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communicates fault location to the control center and maintenance and repair workers when a malfunction or accident occurs along the rail catenary, enabling quick repair and restoration of service. A catenary incident affects all trains in the proximity of about 10 km. Therefore, a fault localization system is in place to support quick and efficient restoration. However, in many cases, repairs were delayed due to systems’ low accuracy. Fault points would sometimes be reported by more than 1 km from actual fault location with the previous system. Efforts had been made to reduce the margin of error with error calibration, but the accuracy of pinpointing fault location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The system applied to AREX quickly identifies and sends an accurate fault point in various fault situations and slightly varied methods of supplying electricity per subway route, reducing repair time. Real time data synchronization technology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catenary fault location detection technology, current ratio multiple setpoint technology, fault current and catenary reactance calculation technology were all applied to the system. KRRI’s system met the error threshold for fault location set by domestic standards by passing an artificial fault test of an accredited testing agency at a pilot section from Airport Railroad Gyeyang substation to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2. The system is also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feeder protection system. 철도연, ‘전차선로 고장 위치를 정확히 알려주는 고장점 표정장치’공항철도 상용화 고장난 전차선로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복구 지원 -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한석윤)은 ‘교류 전기철도의 전차선로 고장점 표정장치’ 기술을 공항철도에 상용화했다. □ 고장점 표정장치는 철도의 전차선로에 고장이나 사고가 일어났을 때 고장지점을 관제센터와 유지보수자에게 전달하여 신속한 복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ㅇ 전차선로 사고는 약 10km로 이루어진 급전구간 안의 모든 열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속하고 효율적인 복구를 위해 고장점 표정장치가 운영되고 있다. ㅇ 하지만, 시스템의 정보와 실제 고장 위치의 거리 차가 1km 이상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등 표정장치의 정확도가 떨어져 복구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다. ㅇ 오차를 줄이기 위해 오차 보정시험 등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고장점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 공항철도에 상용화된 교류 전기철도 고장점 표정장치는 철도연 중소기업지원사업으로 철도연과 공항철도(주), 인텍전기전자(주)가 공동 개발했다. ㅇ 철도연은 고장 부분을 찾아내는 핵심 알고리즘 개발, 인텍전기전자는 고장점 표정장치 시스템 제작과 성능평가, 그리고 공항철도는 운영노선에서 성능검증 시험을 수행했다. ㅇ 노선마다 조금씩 다른 전기 공급방식과 다양한 고장 상황에서도 문제 발생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알려주기 때문에 복구 시간을 단축시켰다. ㅇ GPS(위성항법시스템)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기술, 전차선로 고장구간 판별기술, 전류비 다중설정 기술, 고장전류비 및 전차선로 유도저항 계산 기술 등이 적용됐다. ㅇ 공항철도 계양변전소∼인천공항2터미널 구간 시범 구축 및 공인시험기관의 인공 고장시험을 통해 국내 규격에서 제시하는 고장점 오차를 충족시켰다. 또한, 기존 급전계통 보호시스템과의 호환성을 확보했다. □ 정호성 철도연 수석연구원은 “개발된 시스템은 국내 철도의 다양한 전기공급 방식으로 해결이 어려웠던 표정장치의 정보와 실제 고장 위치의 오차를 획기적으로 줄인 기술로 고속철도, 일반철도 노선 등에 확대 적용하는 연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철도운영기관과 연계한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앞으로도 중소기업지원사업이 빠른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철도운영기관과의 공동연구, 애로기술 지원 등 중소기업 지원 확대를 위해 더욱 애쓰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