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북태평양 ‘큰바다사자’ 부산에서 일광욕? / KBS 2024.08.13.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멸종위기 야생생물, '큰바다사자'를 목격했다는 어민 신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북태평양 연안이 서식지인 큰바다사자가 먹이를 찾아 부산과 울산 앞바다까지 내려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 진하해수욕장 인근 남방파제 호안. 항해하는 선박에 바다 장애물을 알려주는 '등부표' 위에 낯선 생물이 올라가 있습니다. ["안녕?!"] 해양 포유류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큰바다사자'입니다. 몸길이 약 3m의 수컷으로, 몸무게가 1톤에 육박하는데, 15종의 바다사자과 가운데 몸집이 가장 큽니다. 부산 기장군 동백항에도 큰바다사자가 나타났습니다. 이번에도 바다 '등부표' 위였습니다. [김영빈/울산해양경찰서 기장파출소 경사 : "동물원에서만 이런 거 봤지, 바다사자를 실물로 보니까 크기가 송아지만 하더라고요. 또 상처를 확인했는데 다친 부분은 없었다는…."] 북태평양 연안을 따라 주로 베링해, 오호츠크해, 쿠릴열도, 러시아 사할린 앞에 분포하는 큰바다사자. 동해를 거쳐 남해 인근까지 내려온 건 이례적입니다.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생존을 위협받는 상황에서 먹이생물을 찾기 위한 걸로 추정됩니다. [이경리/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연구사 : "해상에 먹이를 쫓아서 오다가 원래 위치에서 조금 더 내려온 것 같은데요, (에너지 고갈로 등부표에) 휴식을 취하기 위해 올라간 거로 판단됩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북태평양 해양 포유류가 우리 연안까지 장거리 이동하고 있다며 수온과 먹이생물 변화와 관련 있는지, 연구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조양성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