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창+] 세계유산 등재 추진중인 일본 사도광산... 강제동원 역사는 어디로? (KBS 24.05.21)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시사기획창 '아베 야망은 살아있다' 중에서] 일본 니가타현 항구에서 배를 타고 2시간 반 만에 도착한 사도섬. [인터뷰] 미쓰노·마쓰오카/관광객 매우 조용한 마을이고 바다도 정말 예뻐서 멋진 섬이라는 느낌이 들었어요 해가 지면 화려한 조명을 덮어쓰고, 신비로운 관광지 모습으로 탈바꿈합니다. 저 달을 보며 흘렸을 조선인들 눈물은 어디에 있을까. [인터뷰] 토니·앤/영국 관광객 일본 정말 좋아요. 일본은 모두 친절하고, 깨끗하고. 최고예요. (기자: 이곳에서 강제 노동에 대해서 들어본 적 있나요?) 아뇨. 지금 강제 노동이 이뤄지고 있나요? (기자: 지금은 아니고, 1945년 전입니다.) 들어본 적 없어요. 사도광산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은 최소 1,519명. 이들의 이름은 박물관에서 일부나마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명부를 발견하고 강제동원의 실체를 알린 이들은 사도섬 주민들입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그것은 말 그대로 강제 연행에 해당하는데요. 인원수가 할당되었다는 거예요. 물론 조선총독부가 개입해 인원수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끌고 온 거죠 그러나 일본 정부는 조선인 강제동원 기간은 쏙 빼고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했고, 7월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시 의원 에도시대만 뚝 오려내 강조하고 나머지 근대유산은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지 않는 근본없는 방식이어서는 안 된다는 거죠 좁고, 습하고, 깜깜한 굴.. 살아 돌아온 광부들도 폐가 굳어 피를 토하며 죽게 만든 이곳.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나르거나 캐는 일이 가장 위험했던 일이죠?) 그렇죠. 착암 작업에 종사한 노동자의 비중을 보면 일본인과 비교해 조선에서 온 노동자의 비중이 확실하게 높았습니다. [인터뷰] 故김주형/ 사도광산 강제동원 피해자 (1991년 인터뷰) 거기 가면 1구, 2구가 있는데 자기 굴을 찾아가면 거기서 또 어디로 가라, 어디 가라...하여튼 제일 나쁜 데가 사도섬이었어. 꼼짝을 못했으니까 하라는 대로 하고. 섬이라 꼭 가둬놓고 배를 타고 건너올 수가 있나 뭐... [녹취]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이곳에서 돌아가신 분 따님이 왔었어요. 저쪽으로 나가면 나오는 입구에서 무릎을 꿇고 절규했어요. 어디서 보는 게 좋을까? 이쪽이 좋은가? 그 지도가 있죠. 저기 위 벚나무가 있는 저 낭떠러지 위에요. 벚나무가 심겨 있는 곳이요 "이곳은 갱생시설이 있던 터입니다. 그리고 더 위로 올라가면 제4기숙사가 있었습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그곳은 과거 한국에서 강제 동원된 노동자의 숙소로 사용되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입소했고 250~260명 정도가 생활했죠. "제4기숙사요. 형태는 이런 모습이었어요" 표지판 하나 없는 조선인 숙소. 이대로 가면 한 맺힌 역사는 사라지고, 관광지 사도섬만 남게 됩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조선인 노동자가 통행하는 유일한 길이었어요. 광산가는 길, 이 길을 걸어 올라가 광산에 도착했던 거죠 (기자: 이 길로 쭉 걸어가면 사도광산이 나오는 거죠?) 네, 맞아요 " 더 큰 문제는 사도광산이 결코 끝이 아니라는 겁니다. [인터뷰] 강동진/경성대교수·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일본이 오래전부터, 사실은 아베 정권 때부터죠. 아베 내각 때부터, 한 20여 년 전부터 새로운 세계유산. 그러니까 근대기, 메이지 유신 이후에 이제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그들이 이루어 냈던 근대화의 결과들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겠다는 큰 야망을 갖고 오랜 기간 준비를 했어요. (기자: 만약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가 끝끝내 무산되더라도 그 움직임 자체는 계속 된다고 봐야겠네요?) 그럼요. 계속됩니다. 그러니까 사실은 몇백 개의 유산을 이미 다 산업 유산을 찾아서 정리를 이렇게 다 해놨어요. 그 절차에 따라 하나하나 지금 등재를 하고 있는 거고, 그다음에 또 추진을 할 거라고 예측이 됩니다. 계속할 겁니다. 관련 방송 : 2024년 5월 21일 (화) KBS 1TV, 22:00 [시사기획창] '아베 야망은 살아있다'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news.kbs.co.kr/vod/program.do... 유튜브 / @kbssisa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