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신민요(新民謠) ‘베 짜는 처녀(處女)’[이은파(李銀波) 노래(1934.7, 1938.3.). 고마부(高馬夫) 작시(作詩)⦁전수린(全壽麟) 작곡. 빅터(Victor)]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신민요(新民謠) ‘베 짜는 처녀(處女)’[이은파(李銀波) 노래. 고마부(高馬夫) 작시(作詩)⦁전수린(全壽麟) 작곡] 원반 : Victor 49305(1934.8), Victor KJ-1170A(1938.3) 녹음(최초) : 1934.7. 10 1. 길주(吉州)나 명천(明川) 땅은 마포(麻布) 나는 곳 꽃 같은 아가씨들 베틀에 앉아 이팔(二八)의 고운 꿈을 어루만지며 은근(慇懃)한 마음씨로 베를 짠다네 2. 베틀에 섬섬옥수(纖纖玉手) 오르나릴 때 수지운 아가씨의 마음도 뛰네 바리안 고운 베로 열 필(匹)을 짜야 비단(緋緞) 옷 장만하고 님 맞어 가네 3. 기나긴 밤을 새며 틀 우에 앉아 등잔(燈盞)을 돋우고서 베 짜는 처녀 한 번 본 그림자를 맘에 그리며 싹 트는 첫사랑의 시름을 짜네 [주(註)] ★ 길주(吉州) = 길주군(吉州郡). 함경북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군(郡)] 이름. ★ 명천(明川) = 명천군(明川郡). 함경북도 남동부 동해 연안(沿岸)에 있는 고을[군(郡)] 이름. ★ 마포(麻布) = 삼베. • 베틀 = 삼베∙무명∙명주 따위의 피륙을 짜는 틀. ★ 이팔(二八) = ‘이팔 청춘(二八靑春)’의 준말. 16세 안팎[전후]의 젊은 나이. ★ 은근(慇懃)한 = 야단스럽지 아니하고 꾸준한 ★ 섬섬옥수(纖纖玉手) = ‘가녀리고 가녀린 옥(玉) 같은 손’이라는 말로서, 가냘프고 고운 여자(女子)의 손. ★ 오르나릴 = ‘오르내릴’의 예스런 말(사투리). ★ 수지운 = ‘수집은’(‘수줍은’의 예스런 말)의 부정회귀(不正回歸. 곧, ‘ㅂ' 불규칙 활용의 잘못된 회귀) 현상(現象). 사투리. ★ 바리안 = 고운 베의 일종(一種). 바리안 베. ★ 님 맞어 가네 = ‘임을 맞아 (시집)간다네’의 사투리 표현. 여기서는, ‘임을 만나 시집간다[혼인(婚姻)한다]네’의 뜻. ★ 틀 우에 = ‘틀 위에’의 옛말. 베틀 위에. ★ 등잔(燈盞) = 기름을 담아 등불을 켜는 데 쓰는 그릇. 여기서는, ‘등잔 심지’의 준말로 쓰였음. ★ 그림자 = 임의 그림자. 곧, 스쳐가듯 보아 눈앞에 아른거리는 임의 모습[자태(姿態)]. ★ 첫사랑의 시름 = 첫 사랑 임을 만날 꿈으로 설레는 마음 속에서도 항상 떠나지 않는 초조(焦燥)와 근심∙걱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