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인문학 지도_중국1. 역사공부 어떻게 해야 하나[수정본 시청 요망]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본 영상은 편집 전 버전입니다. 자막과 에니메이션이 더해진 편집본 시청을 권합니다. • 인문학 지도_중국1.역사공부 어떻게 해야 하나[수정본] 인문학 지형지도_중국1. 역사공부 어떻게 해야 하나 인문학 지형지도 시리즈는 역사공부를 깊이 있게 하고 싶은 분들을 위하여 '인문과학원 학림'에서 기획한 콘텐츠입니다. 여행이나 가벼운 목적으로 시청하는 분들은 필요한 구간만 보셔도 무방할듯 싶습니다. [차례] 1.역사 기록물을 보기 위한 전제 2. 역사공부는 반드시 지형도로 시작 3. 실체가 없는 중국과 한족의 역사 4. 시대에 따라 지명과 강역은 변동 [강의 내용 중] 역사는 승리자의 기록으로 고대에도 그랬고 근현대사 역시 동일 15세까지 그리스문명이 이집트의 영향으로 성립했다는 것은 정설 1911년부터 조선총독부 주도로 유물 이동, 사료 재간행을 명분으로 원전 조작 진행 역사를 반드시 지형지도로 공부해야 하는 이유 ① 왜? 굳이 이곳에 도성을 쌓았으며, 함곡관은 역사에 자주 등장하는가? ② 촉 잔도(蜀棧道)는 왜? 설치할 수 밖에 없었나. ③ 실크로드 상의 오아시스 도시는 정말 척박한 땅이었나? 이런 의문에 대한 답은 암기가 아닌 지형도로 자연스럽게 이해하는 것 지형도가 아닌 평면지도로는 텍스트 오류, 역사 조작 파악은 불가 고대문명은 자연파괴와 기후변화 영향요인의 중심 변수 1911년 손문의 중화민국(中華民國) 선포 전에중국이라는 국명(國名)은 無존재 中國의 의미는 ‘천자·황제’가 직접 통치하는 강역 한족은 혈연집단이 아닌, 모국어를 한어(漢語)로 쓰는 사람들 중국 56개 소수민족 구분도 1953년 인구 조사 후 임의로 획정 시대에 따라 지명과 강역은 변동 ① 하동(河東)과 하서(河西), 요동(遼東)과 요서(遼西)의 위치는? ② 기만족 강족의 웅거지이자 맹장 배출 지역인 서롱(西朧)의 위치는? ③ 고대의 총령(葱岭)은 현재의 파미르고원이 맞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