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시간의 오차 어떻게 줄일까? | 보이지 않는 세계를 감지하는 양자센싱이 바꾸는 세상 | 지식채널e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1초를 재정의한 원자시계, 양자센싱이 만든 혁명 시계가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시간을 알 수 있을까? 아침을 깨우는 알람부터 출근, 미팅, 약속 등 우리 삶을 움직이는 ‘시간’은 어떤 기준으로 정해진 걸까? 태양과 별의 움직임으로 시간을 재던 시대를 지나, 과학과 산업이 발전할수록 더 요구되는 건 ‘정확한 시간’이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초’만으로는 부족해졌다. 작은 오차 하나가 산업 현장을 멈추게 할 수도 있는 시대! 보다 정밀한 시간이 필요했던 인류는 ‘원자시계(Atomic Clock)’를 발명했다. 원자 내부의 진동수를 이용해 ‘1초’를 정의한 이 시계는 양자센싱 기술의 시작이자 대표적 사례다. 원자시계의 정밀함은 상상도 못 한 발견으로 이어졌다. 바로, 산 정상과 바닷가처럼 높이가 조그만 달라도 흐르는 시간이 달라진다는 사실!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시간이 느리다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실제로 증명했다. 그런데 이 놀라운 기술이 바꾸는 건 ‘시간’만이 아니라는데... 보이지 않던 것을 보고, 측정할 수 없던 것을 측정하는 과학. 그 최전선에서 우리 삶을 바꾸는 힘, 양자 센싱. 과연 이 기술은 어디까지 왔고,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까? 올해는 하이젠베르크가 행렬역학 논문을 발표한 지 꼭 100년이 되는 해다. UN이 2025년을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로 지정한 이유도 여기에 있는데... 양자역학 100주년을 맞아, 현실로 다가온 양자센싱 기술을 함께 들여다본다. #양자센서 #양자센싱 #원자시계 #광시계 #초정밀시계 #시간의비밀 #상대성이론 #시간측정 ▶️ 프로그램 : 지식채널e - 보이지 않는 자, 양자센싱 ▶️ 방송일자 : 2025.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