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순정 후방카메라 사제 교체! 12만 원짜리 후방카메라 대신 25,800원짜리로 교체해보자!(K5)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K5 2011년식 LPI 추가적인 설명 배선에 대해 공부하셔도 되고, 안 하셔도 됩니다. 보통 전원+, 전원-, 비디오+, 비디오- 이런 식으로 4가닥 있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자동차 제조사 비롯하여 국산 후방카메라 제조사라면 이것을 색깔대로 잘 만들기 때문에 색깔 맞춰서 그대로 연결해주면 됩니다. 마치 자동차 배터리에서 +는 빨간색, -는 검은색으로 해놓은 것과 똑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걸 고려하지 않고 막 찍어내는 중국산 후방카메라라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으니, 이게 어떤 경우에도 적용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저는 정비지침서의 전장회로도와 후방카메라 제조사에 문의하여 배선을 다 확인하였는데, 확인이 따로 필요 없을 만큼 둘 다 정확하게 배선을 만들어줬더군요. 후방카메라 덮개 같은 경우, 차량마다 부품번호가 다르니(심지어 같은 K5라도 일반 K5와 하이브리드가 다르다고 합니다) 동호회 등에서 확인을 정확히 하시는 게 좋습니다. 만약 이 덮개가 안 나온다면? 그때는 사실 저도 잘 모르겠네요. 그러면 어쩔 수 없이 순정 후방카메라 사서 영상에 나온 것처럼 교체하시면 됩니다 ^^ 제거한 카메라에서 브라켓을 추출하셔도 되고, 어쨌든 순정 후방카메라도 가격 빼고는 장점이 많은 녀석이니까요! 실리콘 처리 같은 경우, 말 그대로 실리콘이든 뭐든 발라주시면 좋은데 저는 그런 게 귀찮아서 예전에 교정할 때 사용하였던 왁스를 사용하였습니다. 이것도 시간이 지나면 돌처럼 딱딱하게 굳어서 방수처리가 정말 잘 되더군요! 방수처리 안 하게 되면 위험하니, 어떤 방법이든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화질은 순정과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그냥 좋았습니다. 해당 화면을 또 휴대폰으로 촬영한 것이라 별로인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 보면 화질이 정말 나쁘지 않았습니다. 주차라인은 아마도 네비게이션 자체에 그냥 들어가 있는 방식이라, 어쩔 수 없었습니다. 차종에 따라선 설정할 수 있을 수도 있겠네요. 배선 자르고, 양면테이프 붙이는 등의 부분은 제가 보여드리든 안 보여드리든 개인의 실력과 경험이 중요한 부분이기에 과감히 생략하였습니다. 시행착오를 몇 번 겪으시면 저보다 훨씬 잘하시게 될 겁니다. 저는 못하는 편입니다. PG 슬리브 같은 경우, 주변 전기 관련품 파는 공구가게에서 팔 수도 있고 안 팔 수도 있습니다. 여기저기 한 열 군데 다녀보니 한 곳에서만 팔더군요. 차라리 인터넷으로 미리 주문하시는 게 나을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롱노우즈 같은 걸로 찝어주면 고정이 안되니, 무조건 니퍼를 쓰셔야합니다. 후방카메라 5V, 12V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틀릴 가능성이 좀 있습니다. 저도 여기저기 검색해보고 찾아보면서 공부하고, 또 그것을 실제로 해본 것을 영상으로 보여드린 것이라 잘못 이해하였지만 그냥 작업은 성공한 걸 수도 있습니다. 자동차가 기본적으로 12~14V 전기를 사용하고, 후진등도 이 12V를 쓴다고 보시면 될 것 같은데요. 하지만 네비게이션은 5V를 사용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과 후방카메라가 그냥 직접적으로 이어지고 전원까지 다 공급받는다면, 5V를 써야합니다. 하지만 후진등에 연결하는 후방카메라도, 12V 배선 사이에 검은 몸통 같은 게 붙어있다면 5V를 12V로 공급받는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차종에 따라 꽤 많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다보니, 본인 차종에 대한 부분은 스스로 잘 찾으셔야합니다. 직접 정비지침서를 찾아보셔도 좋고, 동호회나 블로그 등에서 정보를 찾으셔도 좋습니다. 다만 제가 보여드리고자 한 것은, 이 작업에 대한 기본적인 바탕에 대한 정보입니다. 모든 차종에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