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진도씻김굿 '무희 3부' : 2023년 제25회 한예종 연희과 정기공연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00:00 헌수음악 04:26 초가망석 08:23 제석노래(근본 찾기) 12:30 제석춤(지전춤) 19:47 지경다구기, 집짓기 23:42 성주경 26:17 벼슬궁 29:34 노적청하기, 업청하기 32:22 액풀이 35:25 고풀이 38:51 영돗말이 44:54 넋올리기 47:43 길닦음 56:40 무희 엔딩 편집영상은 후에 업로드 됩니다!^^ 1. 헌수음악 망자에게 잔을 올리는 헌수음악으로 굿의 첫 예의 시작을 알린다. 2. 초가망석(신노래) : 지무 박지언 본격적인 굿의 시작으로 신과 망자를 청한다. 여러 신을 부르며 죽음을 애도하고 극락왕생을 기원한다. 3. 제석굿 1) 제석노래(근본 찾기) : 지무 조혜수, 박서현 집안의 수호신인 제석신에게 가족의 복과 덕을 비는 굿이다. 2) 제석춤(지전춤) : 지무 유수연, 박지언, 김건희, 서은별, 오준희, 정시온, 황금물결 청신과 송신 또는 망자의 넋을 불러 부정을 가시게 하고 원한을 풀어 극락으로 천도하는 의미의 춤을 춘다. 3) 지경가구기, 집짓기 : 지무 조혜수, 박서현 가내번성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집을 짓기 천 땅을 다지는 지경다구기와 집을 짓는 과정을 노래로 부른다. 4) 성주경 : 지무 유수연 집을 지키는 성주신의 내력을 노래하고 이곳에 오신 모든 분들의 집안에 영화를 빈다. 5) 벼슬궁 : 지무 유수연, 서은별, 정시온 우리나라 팔도강산의 정기를 받아서 이곳에 오신 모든 불들의 자손들이 잘 되도록 기원하는 노래를 부른다. 6) 노적청하기, 업청하기 : 지무 김강유 많은 노적(재물)이 쌓여 부자가 되기를 기원하는 '노적청하기', 재복을 가져다주는 업신을 청하는 '업청하기' 노래를 부른다. 7) 액풀이 : 지무 유수연, 김강유, 조혜수, 박서현, 서은별, 정시온 '액'을 막기 위한 노래를 부른다. 4. 고풀이 : 지무 김건희 오준희 이승에서 맺힌 한을 상징하는 고를 묶어서 하나씩 풀어내면서 망자의 영혼을 달랜다. 5. 씻김 1) 영돗말이 : 지무 박지언 노래를 부르며 죽은 이의 신체를 상징하는 영돗을 말아서 쑥물, 향물, 맑은 물로 깨끗이 씻긴다. 지무는 영돗을 정성스럽게 씻기면서 망자가 극락으로 편히 가시라고 청한다. 2) 넋올리기 : 지무 박지언 지무가 망자의 넋을 들고 이승에서 맺힌 망자의 한이 잘 풀어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넋올리기를 한다. 유족(지인)의 머리 위에 망자의 넋을 올려서, 넋이 잘 올라가면 망자가 한을 풀고 편안히 가신 것이라고 여긴다. 넋이 잘 오르지 않으면 한이 풀리지 않은 것이라고 여겨서 여러 차례 반복해서 시도한다. 6. 길닦음 저승으로 가는 길을 상징하는 '길배'를 늘이고, 지무들이 그 위에 복개, 넋, 지전, 망자 옷 등을 올린 다음 길베의 양끝을 오가면서 길을 닦는다. 망자의 극락천도를 기원하기 위해서 여러 사람들이 길베에 노잣돈을 올리고, 지무들은 망자의 극락왕생 기원과 하직의 내용을 담은 긴염불 - 애소리 - 하직소리 - 재화 소리 - 자진염불 -천궁소리를 부른다. 타악 : 김산(징) 배민호(장구) 이진우(정주) 서찬호(북) 권도혁(꽹과리) 기악 : 안유진, 최지원(거문고) 차루빈, 김병준(대금) 주재형, 박새한(피리) 황연정, 신지민(해금) 조승경, 김우성(아쟁) 제관 : 김정현 촬영 : 조정현 지도 : 양용은, 박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