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배본철교수-복음 전도를 위한 성령의 능력-성령론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초대교회의 모습과는 달리, 시간이 흘러가면서 점차 기독교회는 세속화의 물결과 교권제도(hierarchy)가 발전됨을 통해 자유로운 성령의 나타남을 배제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 그러자 마침내 표적을 동반하는 복음의 능력과 성령의 자유로운 은사는 산속과 사막의 수도원으로 도주하여 퇴색되고 말았다. 그리고 복음에 약속된 성령의 주권과 능력 대신 금욕적이며 이원론적인 신비주의적 영성이 중세교회 전체를 휘감게 되었다. 16세기 종교개혁은 중세교회의 어둠을 깨고 하나님의 말씀과 믿음에 의한 구원의 권위를 회복한 위대한 사건인 것만은 틀림없다. 그러나 종교개혁의 신학은 기록된 성경의 권위와 구원론의 가치를 존중한 반면, 복음전도에 있어서의 기사와 이적의 초자연성이라든가 성령의 은사와 인도하심에 대한 초대교회적 신앙을 용납할 만한 여유가 아직 없었다. 그러던 차에 17세기를 맞아 유럽 여러 나라의 개신교들은 계몽주의와 합리주의의 지독한 공격을 받게 된다. 이후 개신교 신학의 성격은 안타깝게도 대부분 계몽주의의 시녀 노릇을 해오게 된다. 어떻게 보면 18세기 영국에서 웨슬리(John Wesley)의 부흥운동이 일어나기까지는 복음 전도에 있어서 성령의 능력과 나타남에 대한 시각이 거의 닫혀 있었다고 볼 수도 있다. 여기서 우리는 복음의 핵심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왜 예수께서는 우리를 위해 죽으셨는가? 왜 예수 그리스도의 영이 우리 안에 와 계시는가? 왜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삶을 인도하고 계시는가? 이 모든 질문의 궁극적인 답변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값없이 얻은 구원의 은총 가운데서 세계 복음화를 완수하는 일에 각각 여러 모양으로 우리를 부르셨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일을 위해 성령께서는 우리 안에서 인도하시며 다스리시며 또 권능을 나타내기 원하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