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무와 함께 먹으면 탈이 없다! 산삼 보다 좋다하여 동삼이라 불리는 무! 수많은 채소 중에 으뜸으로 손꼽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인의밥상 KBS 20130328 방송]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 아삭아삭 달콤한 흙 맛! - 무생채 섬 인구의 50%가 무 농사를 짓는 조도. 모든 것이 얼어붙은 계절에도 이곳에 싱싱한 무가 자랄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조도 무는 왜 과일보다 더 달다고 할까? 금방 뽑은 무를 시원한 굴과 함께 버무린 아삭아삭한 무생채는 물론 조도에서만 맛 볼 수 있는 보리싹 무전이 곁들어진 조도 명지마을의 새참. 금방 밭에서 뽑은 무의 아삭아삭 달콤한 참맛을 느껴본다. ■ 오돌도돌 할머니의 손 맛 - 무말랭이와 시래기 무수확이 끝나면 조도 할머니들의 손은 더욱 바빠진다. 갓 수확한 무를 썰어 무말랭이를 만들고, 시래기를 손질해야 하기 때문이다. 햇볕에 오돌도돌 말라가는 무말랭이는 생 무보다 더 달콤하고, 쫄깃한 식감으로 사철 반찬 걱정을 덜어주었다. 그 옛날 힘들었던 시절... 김이 모락모락 나는 찐 고구마에 무말랭이 한 조각을 먹으며 고된 생활을 견뎌냈다던 장남역 할머니의 무말랭이 같은 시집살이 이야기를 들어본다. ■ 감기 뚝! 뜨끈한 한 그릇 - 쇠고기 무국 독한 감기에 코가 맹맹할 때 어머니가 끓여주시던 뜨끈한 쇠고기 무국 한 그릇이면 기운을 차리곤 했다. 수 백 년 간 진도에 뿌리 내려온 유서 깊은 창녕 조씨 종가. 종부 박상덕 할머니가 끓이는 투박하면서도 깔끔한 쇠고기 무국, 그리고 무로 빚어 탈이 날 염려가 없었던 무 만두, 달콤한 맛을 내던 무시루떡 등 서민에서 반가의 밥상까지 흔하면서 귀하게 쓰였던 무 음식을 만나본다. ■ 생선과 무를 함께 먹는 이유는? 생선회에도 무를 까는 이유는? 왜 설렁탕이나 국수에는 무김치를 곁들일까? 해산물이 풍부했던 조도 사람들의 밥상에 무는 감초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숭어가 제철인 요즘 윤현숙씨는 무와 함께 버무려낸 숭어짬뽕 회와 동치미 국물에 말아낸 고동 물회를 밥상에 내놓는다. 솥 아래 무를 듬뿍 깔고 지은 무밥은 급히 먹어도 체할 염려가 없었다는데... 오랜 세월 우리 밥상의 보약 역할을 했던 무의 가치를 재조명해 본다. 한국인의 밥상 (목요일 저녁 7시 40분 KBS1) “뿌리깊은 밥상의 보약 - 진도 무” (2013년 3월 28일 방송) #한국인의밥상 #무 #진도 ✔ 다큐는 KBS | KBS다큐 공식 채널 📺 ✔ KBS다큐 구독하기 ➡️ / @kbsdocumentary 영상 방송 시점에 따라 현 상황과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비방 및 악성 댓글은 출연자 보호를 위해 운영자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