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문화] 'ㅇㅋ''ㅇㅇ' 자음으로 의사소통…'자음' 전성시대 (SBS8뉴스|2014.10.9)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요즘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메신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자 대화 모습입니다. 지읒, 기역, 이응, 디귿. 무슨 말인지 아시겠습니까? 이런 식으로, 한글의 초성 자음만으로 대화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게 한글 파괴일까요, 아니면 한글의 기능 확장일까요. 조지현 기자와 함께 생각해 보시죠. 두 친구의 대화입니다. [(ㅈㄱㅇㄷ) ㄱㄴㅈ (ㅃㄹㅇ) ㅈㅅ (ㅇㅋ) ㅇㅇ] 이런 표현이 낯선 분들을 위해, 다시 한 번 볼까요? [(지금어디) 가는중 (빨리와) 죄송 (오키)] 최근 휴대전화 메신저에서는 이런 줄임말이 흔히 쓰입니다. [ㄱㄱ (고고), ㄴㄴ (노노), ㄷㄷ (덜덜), ㅂㅂ (바이바이)] 자음으로만 하는 의사소통입니다. [심의현/서울 강북구 : 타자를 치는 시간을 조금 줄이고 이렇게 말하면 훨씬 간편하기도 하고.] [심규민/경기 부천시 : 친밀감 같은 게 더 잘 느껴지고, 더 편하게 대할 수 있는 것 같아요.] 특히 ㅋ와 ㅎ은 웃음소리를 표현한 의성어로, 대화의 윤활유이자 감정을 전달하는 중책을 맡습니다. [우혜진/서울 관악구 : 알았어, 딱 끊으면 왠지 무뚝뚝해 보이는데 ㅋㅋ나 웃음표시 해주면 좀 더 부드러운.] 개수에 따라서, ㅋ 하나는 실소나 비웃음, ㅋㅋ 두 개는 예의상 웃어줄 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러 개는 매우 웃길 때 쓴다는, 일종의 규칙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이런 현상에 대해 한글 학자들은 이렇게 자음만 쓸 수 있는 것 자체가 한글의 우수성 덕분이라고 설명합니다. [김슬옹/한글학자 : 간결하게 표현하면서도 그것이 어떤 하나의 새로운 그림문자, 표정문자인것처럼 효과를 주는 것이죠. 그 다음에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싶은 젊은세대의 표현의 욕망, 이런 것이 어울려서 독특한 표현 양식이 드러나는 것입니다.] 한글은 초성 자음과 중성 모음, 종성 자음이 합쳐져 한 음절에 한 글자씩 씁니다. 영어도 일부 단어나 구절에 대해 음절의 첫소리를 따 줄임말을 쓰기는 하지만 한글은 글자의 첫 자음만 뽑아 쓰는 '규칙'을 일관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네비게이션에서 한글 첫소리만으로 쉽게 장소 검색이 가능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줄임말을 쓴 나머지 젊은 층의 한글 표현력이 떨어지고, 생각과 감정을 정교하게 글로 표현하지 못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또 소통'과 '배려'라는 한글 창제의 뜻에 맞게, 상대가 이해할 수 있는 선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게 중요합니다. ◀대한민국 뉴스리더 SBS▶ 홈페이지: http://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