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키에르케고어의 '아케다(akedah)' 이야기 [정진우의 철학교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참고영상 • Video 오늘은 19세기 후반, 헤겔의 보편주의가 유럽사회를 지배하던 때, 그러한 보편자의 허울을 깨고 개별자의 우위를 선포했던 실존주의의 선구자, "쇠얀 키에르케고어(Søren Kierkegaard)"의 유신론적 실존사상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는 인간들이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크게 관능적 실존, 윤리적 실존, 종교적 실존으로 나누고, 그 가운데 종교적 실존을 가장 높은 단계의 실존으로 위계시킵니다. 그렇다면, 종교적 실존이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그가 사용하는 "신 앞에 선 단독자"라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그가 "공포와 전율(Frygt og Bæven)"이라는 책에서 분석하는 성서의 "아케다(akedah: 결박)" 이야기, 즉 창세기 22장에서 "아브라함이 이사악을 신의 명령에 따라 결박하여 번제물로 바치는 이야기"는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 상징 신화일까요? 우리는 이러한 물음을 통해 키에르케고어가 말하는 실존주의, 즉 각자가 자신의 "소신(의로움)"에 따라 살아가는 실존주의가 무엇인지를 함께 이해해 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