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2024 Gugak in人] #8 안유진(Ahn Yu-jin) - 고 요(Think, Move.)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안유진 Ahn Yu-jin] 국악 타악 연주자 안유진은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하여 국악의 본질을 잃지 않고, 다양한 악기를 수용하며 새로운 스타일의 전통음악을 시도한다. 국악 타악기를 통해 그 특징을 새롭게 해석하고 과감한 시도로 완성도 높은 작품을 발굴 하고자 하며, 현대적인 창작을 통해 전통 음악의 전승뿐만 아니라 세계로 나아가는 월드 뮤직으로써의 발전을 추구하고자 하는 아티스트이다.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ist Ahn Yu-jin does not lose the ess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traditional music, accepts various instruments, and tries a new style of traditional music. We intend to newly interpret its characteristics through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s and discover high-quality works through bold attempts. It is an artist who seeks to not only transmit traditional music through modern creation, but also to develop as world music that advances to the world. [곡 소개 Performance Descriptions] 고 요 Think, Move. 考생각하다, 猶움직이다. 생각으로부터 자유와 움직임을 깨운다. 언젠가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인 우리가 자유롭고 영원한 삶을 살아가기 위함은 스스로가 삶의 목적을 가지는 것이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나’라는 인간 존재가 한 마리 작은 물고기가 물에서 물 위로 날아오르듯, 우주적 존재로서 자유롭고 영원한 비상을 꿈꾸며 움직인다. 考Think, 猶Move. Awakening freedom and movement from thought. Isn't the greatest reason for us, who are destined to die someday, to live a free and eternal life by having a purpose in life? Just as a small fish leaps from the water into the air, the human being, "I," moves, dreaming of a free and eternal flight as a cosmic being. [출연자 Performer] 운라(Ulla) - 안유진(Ahn Yu-jin) 아쟁(Ajaeng) - 권다정(Kwon Da-jung) 타악(Percussion) - 최정욱(Choi Jung-wok) 작곡(Composing) – 김혜지(Kim Hye-ji) 편곡(Arranging) – 안유진(Ahn Yu-jin) [장소 Location] 〈제천 한벽루 Jecheon Hanbyeokru〉 ‘제천 한벽루’는 고려 충숙왕 4년(1317)에 청풍현 출신 승려 청공이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된 것을 기념해 세운 2층 누각이다.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3칸의 구조로, 조선시대 누각 건물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The ‘Jecheon Hanbyeokru’ is a two-story pavilion built by Cheonggong, a monk from Cheongpung-hyeon, to commemorate the elevation of Cheongpung-hyeon to a county in the fourth year (1317) of King Chungsuk of the Goryeo Dynasty. The building features a structure with four bays at the front and three bays at the side, and is considered a prime example of a pavilion from the Joseon Dynasty. 〈비봉산 전망대 Bibongsan Mountain〉 ‘비봉산’은 봉황이 나는 형국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매가 날아가는 모습과도 닮아 일명 매봉으로 불린다. 정상에서는 청풍호와 월악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사방이 청풍호로 둘러싸여 있어 섬에 오른 듯한 느낌을 준다. 기암괴석과 산, 호수의 색 조화가 특히 인상적이다. ‘Bibongsan Mountain’ gets its name from its resemblance to a flying phoenix and is also called Maebong Peak because it looks like a hawk in flight. From the summit, you can enjoy the stunning views of Cheongpungho Lake and Wolaksan Mountain, and with Cheongpungho Lake surrounding it on all sides, it feels as though you are on an island. The striking harmony of the odd rock formations, mountains, and the lake's colors is especially impress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