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비만도/ 신체질량지수 / 표준체중 / 생체전기저항분석법 / YTN 사이언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딱딱하고 불친절한 과학은 가라. 생소한 과학용어를 쉽고 친절하게 풀어드리는 '친절한 과학' 시간입니다. 권재일 앵커와 함께 합니다. '비만은 질병이다!' 마케팅 슬로건이 아닙니다. 세계보건기구 WHO가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했죠. 하지만, 어느 정도가 비만인지 감이 잘 안 오신다고요? 비만의 정도, 즉 비만도를 알기 위해서는 체지방량을 측정하거나 신체지수를 활용하는데요~ 그중에서도 우리가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건 '신체질량지수'입니다. BMI라고도 부르죠. 신장의 제곱 값으로 체중을 나누면 되는데요, 제가 키 173에 체중이 69kg이니까 69 나누기 1.73의 제곱, 하면 23이 나오네요. 대한비만학회는 수치에 따라 저체중에서부터 고도비만까지 나누고 있는데요. 저는 23이니까 정상체중이군요. 여러분들도 계산기를 두드려보시죠!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선 나에게 꼭 맞는 체중도 확인해야겠죠? 표준체중이란 각 개인 키에 적당한, 바람직한 체중을 의미합니다~ 신장에서 100을 뺀 후 0.9를 곱하는 브로카지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목표로 삼으면 좋다는 뜻이지 이게 꼭 정상이다! 이런 의미는 아니라는 거~ 기억하시고요! 비만을 판정하는 요소에 몸무게만 있는 건 아닙니다~ 병원에 가면 체지방량을 측정해 비만도를 판정하는 기계, 보신 적 있죠? 바로 '생체전기저항분석법'을 이용하는 건데요! 지방은 전기가 통하지 않거든요~ 신체에 약한 전기를 흘려보낸 후 그 저항값을 이용해 지방량을 측정하는 거랍니다! 평소 여러 방법을 통해 자신의 비만도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좋겠죠? 지금까지 '친절한 과학'이었습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