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불두화 Viburnum opulus 佛头花 Snowball tree 생약명 불두수佛頭樹 꽃이 나발螺髮 부처 머리를 닮았다는 팔선화수국백당 승무화 てまりばな 야생화를 찾아서(795)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야생화를 찾아서(795) in search of wildflowers 국명 정명 불두화 佛头花 학명 정명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Nakai) Hara 영어명칭 Snowball tree 이명 향명 승무화 밥꽃 밥티꽃 사발꽃 팔선화 수국백당 수국백당나무 큰접시꽃 てまりばな おおでまり 接头花 佛头花 명칭유래 꽃 모양이 나발(螺髮)이라고 불리는 부처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 꽃말 제행무상 은혜 베풂 분류체계 쌍떡잎식물 산토끼꽃목 인동과 백당나무를 개량한 종 생태 인동과의 낙엽 지는 작은 키나무 낙엽 활엽 관목 원예용으로 육성된 백당나무의 변종 높이 산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3~6m이다. 잎 마주나고 길이 4~12 cm의 넓은 달걀 모양이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잎자 끝에 2개의 꿀샘이 있고, 밑에는 턱잎이 있다. 대생, 광난형, 길이와 폭이 각각 4~12㎝, 3심열, 불규칙한 거치연, 이면은 털이 있음, 엽병은 끝에 2개의 밀선이 있음 화경 산방화서, 화경의 길이는 2~6㎝ 어린 가지 털이 없고 붉은빛을 띠는 녹색이나, 자라면서 회흑색으로 변한다. 줄기껍질 코르크층이 발달하였으며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꽃 무성화(無性花)로 5~6월에 피며, 꽃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처음 꽃이 필 때에는 연초록색이나 활짝 피면 흰색이 되고 질 무렵이면 누런빛으로 변한다. 꽃술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꽃(有性花)이 핀다. 열매 핵과, 9월 붉은색 성숙, 구형. 특징 무성화(無性花)여서 열매를 맺지 않는다 꺾꽂이, 접붙이기, 휘묻이로 번식한다. 분포 서식 한국·일본·중국·만주·아무르·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동정同定 수국은 보통 잎이 타원형이지만 불두화는 세 갈래로 갈라진다. 꽃이 달리는 모습이 수국과 같아 백당수국이라 부르기도 하나 수국과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설구화와 유사하나, 잎이 둥근 설구화와 달리 불두화는 세 갈래로 나눠지는 잎을 갖는다. 백당나무는 불두화와 같이 세 갈래로 나눠지는 잎을 가지며, 무성화와 유성화가 함께 핀다. 용도 정원수로 쓰이며 열매를 맺지 않는 상징적 의미 때문인지 사찰에 많이 심겨 있다. 꽃이 공처럼 아름다워 꽃꽂이용 소재로도 종종 이용된다. 약재로 쓰며 꽃차로 마신다. 생약본초명 불두수 佛頭樹 약리작용 경락을 순환시키고 통증을 억제하며, 지혈 및 기침을 멈추는 효과가 있다. 관절염, 요산 퇴통, 타박상 등에 사용되며, 옴, 부스럼, 피부 가려움 등에 외용으로도 활용된다. 여적 餘滴 불두화는 백당나무의 유성화를 없애버리고 무성화의 꽃잎만 자라게 한 원예품종이다. 공 모양의 커다랗게 핀 꽃이 인상적이다. 백당나무 종류 중 모든 꽃이 중성화로만 이루어진 품종을 불두화라고 하며 절에서 흔히 심고 있다. 취재 取材 이론은 주로 On-Line에서 취합 AI 교신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