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평범한 사람과 조직이 비범한 성과를 내도록 도와주는 3가지 키우드 ㅣ 위대한 성과의 법칙 ㅣ 스티브 제이프론 & 데이브 로건 ㅣ 비즈니스맵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평범한 사람과 조직이 비범한 성과를 내도록 도와주는 3가지 키우드 ㅣ 위대한 성과의 법칙 ㅣ 스티브 제이프론 & 데이브 로건 ㅣ 비즈니스맵 2 месяц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평범한 사람과 조직이 비범한 성과를 내도록 도와주는 3가지 키우드 ㅣ 위대한 성과의 법칙 ㅣ 스티브 제이프론 & 데이브 로건 ㅣ 비즈니스맵

▶ 하버드식 독서 토론법이 인생을 진짜 바꾸는 이유는? https://cafe.naver.com/booktuber/10639 ▶ 책추남 나비스쿨 120% 활용법이 궁금하다면? https://link.inpock.co.kr/booktuber (클릭) 책추남TV 무료 뉴스레터 가입하기 https://navischool.kr/ 책추남TV 채널 멤버십 가입 https://bit.ly/3hE4usN 책추남TV 네이버 까페 https://cafe.naver.com/booktuber 책추남TV 카카오 채팅방 https://open.kakao.com/o/ge3nkH7 나비스쿨 온라인 서점 https://navischoolbook.com/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책추남TV 멤버십 회원에 가입하셔서 나비효과 일으켜주세요. 채널 후원은 좋은 영상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 @booktuber   ▶ 본문 바로 가기 00:00 인트로 ▶ 책 소개 출판사 서평 평범한 사람과 조직이 비범한 성과를 내도록 도와주는 3가지 키워드 개인과 집단과 그리고 조직의 행동을 지배하는 ‘진짜’ 법칙 세계 여러 국가와 다양한 산업을 둘러보면 가능성이 아주 희박할 때 획기적인 성과를 일군 기업들이 많다. 회사의 규모를 떠나 그들에게는 어떤 공통점이 있었던 걸까? 기술자 출신의 CEO는 어떻게 뉴질랜드 철강회사를 단 1년 만에 회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업계의 리더로 만들었을까? 브라질 최대 정유회사에서는 600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팀이 이떻게 회의론과 기능장애의 역학을 극복하고 사상 최대의 프로세스 통합에 성공할 수 있었을까? 일본 유수의 주택 제조사는 어떻게 30년 만의 최악의 경제 불황에도 번성할 수 있었을까?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백금 광산은 어떻게 단 1년 만에 안정성을 57%나 향상시킬 수 있었을까? 너무나도 놀라운 이 모든 결과는 도대체 어떻게 가능했을까? 여기에는 주목할 만한 공통점이 하나 있다. 그들 모두 3가지 성과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자신들의 미래를 다시 썼던 것이다. 이 책의 여행을 성공적으로 마친다면 당신도 당신의 조직과 개인적인 삶 모두에서 똑같은 결과를 만들 수 있다. 비록 인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우리는 각자 이미 써진 미래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그런 미래는 ‘무엇’이 쓰는 걸까? 삶에 대한 결정, 희망, 두려움, 꿈, 기대 등이 우리의 미래를 작성한다. 마찬가지로 조직은 역사, 환경, 문화, 열망, 성공과 실패 등으로 미래가 이미 써져 있는 상태다. 이처럼 이미 작성된 미래는 개인과 조직이 이룰 수 있는 성과 수준을 결정하고 만들어간다. 이 책에서 저자는 사람과 조직이 미래를 다시 씀으로써 전례가 없는 수준으로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비밀의 베일을 벗긴다. 획기적인 성과의 이면에는 어떤 비밀이 있을까? 전 세계의 시선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월드컵의 향연에 주목하고 있다. 거스 히딩크 감독은 2002년 월드컵에서 세계 축구의 변방에 월드컵에서 단 1승도 올린 적이 없었던 한국 축구를 4강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그러면 어떻게 한국 축구가 세계 4강에 들어갈 수 있었을까? 대한축구협회와 국민의 염원인 ‘월드컵 16강’ 그 이상을 목표로 준비했던 히딩크 감독의 리더십이 큰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히딩크 감독은 동북아 맹주에 만족하며 세계 축구의 주류인 남미와 유럽 축구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던 대한축구협회와 대표팀의 무기력한 상황 인식을 남미와 유럽 축구에 대한 자신감과 월드컵 16강 이상도 가능하다는 희망적인 미래 인식으로 바꿔 놓았고, 그 결과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월드컵 4강의 기적을 이뤘다. 이처럼 비즈니스와 스포츠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의 주목할 만한 획기적 성과는 상황 인식의 변화에서부터 시작된다. 평범한 사람과 조직이 비범한 성과를 내도록 도와주는 3가지 성과 법칙을 살펴보도록 하자. 위대한 3가지 성과 법칙 성과 제1법칙: 개인의 성과는 상황이 각자에게 인식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리더십 결론 1: 리더는 상황이 인식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그런 힘을 부여한다. 성과 제1법칙은 간단히 말해 “사람들은 왜 그렇게 행동하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다. 우리는 ‘우리’가 무언가를 할 때는 늘 그것이 ‘우리’에게 완벽하게 이해가 된다. 반면 ‘남들’이 무언가를 할 때는 종종 ‘그들은 왜 저런 식으로 행동하지? 도무지 이해가 안 돼’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만일 그 사람의 처지에서 생각해본다면 어떨까? 즉 그 사람은 문제의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 사람의 처지에서 살펴본다면 어떨까?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의문의 눈초리를 보냈을 바로 그 행동이, 사실은 그가 그 상황을 인식했던 방식을 생각하면 그 사람에게 완벽하게 적절한 반응임을 알게 될 것이다. 요는 상황이 각자에게 어떻게 인식되는가 하는 것이다. 성과 제1법칙은 행동에 관한 상식을 거부한다. 즉 특정 상황에서 보이는 사람들의 행동은 사실들에 대한 공통된 이해 때문이라는 상식 말이다. 성과 제1법칙은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여 모든 사람에게 공통으로 적용된다. 미국의 방위산업체인 노스롭그루먼(Northrob Grumman)의 사례를 보면 그 법칙의 보편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1년 노스롭그루먼은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항공우주실험을 했다.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노스롭그루먼은 재사용할 수 있는 발사용 로켓과 우주탐사시스템 같은 새로운 시장에 진출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당시 노스롭그루먼의 실적과 전문 기술은 폭격기와 전투기 같은 국가방위 프로그램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노스롭그루먼이 가장 최근에 유인 우주비행 계약을 체결한 것은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갔다. 바로 달 착륙선 아폴로였다. 그렇다면 이런 야심을 가진 노스롭그루먼의 경영진은 인적 기술과 전문적 기술 모두에서 극적인 변화가 필요한 계획에 사람들을 어떻게 끌어들일 생각이었을까? 더군다나 그 계획이 성공하리라는 확실한 보장이 없을 때에 말이다. 노스롭그루먼에서 이 책의 아이디어들을 활용하던 70명의 임직원은 이 시장기회가 그들 자신에게 인식되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또한, 거기에 만족하지 않고 그들은 전 종업원에게 자신들과 똑같은 변화를 전파시켰다. 이렇게 되자 사람들의 성과는 변했고, 오늘날 노스롭그루먼은 나사의 유인우주선 프로젝트의 계약을 따낼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성과 제2법칙: 상황을 인식하는 방식은 언어가 지배한다. 리더십 결론 2: 리더들은 대화적 환경의 달인이다. 상황이 인식되는 방식은 절대 언어와 떼어 생각할 수 없다. 이 불가분의 관계를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는 헬렌 켈러의 이야기다. 그녀는 생후 18개월 때 앓은 열병의 후유증으로 시력과 청력을 한꺼번에 잃기 전에 겨우 단어 몇 개만 익혔을 뿐이다. 그로부터 7년 후 켈러는 가정교사인 앤 설리번 선생에게서 수화를 배웠다. 일단 언어를 배우고 나자 세상이 켈러에게 인식되는 방식은 급변했는데, 이는 우리의 상상을 훨씬 초월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설리번 선생이 다양한 수화를 가르침에 따라 켈러가 언어를 하나씩 차근차근 배운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언어가 켈러를 삼켜버렸고, 언어에 눈을 뜨는 바로 그 순간에 그녀의 모든 인지 영역을 재구성했다. 그녀는 그 경험에 대해 이렇게 적는다. “(언어에 눈을 뜨기 전에 나는) 오직 어둠과 고요함만 알았다. … 내 삶은 과거도 미래도 없었다. … 그러나 다른 사람의 손가락에서 전해오는 작은 단어 하나가 공허함을 꽉 움켜잡고 있던 내 손에 들어왔고, 내 가슴은 삶에 대한 환희로 벅차올랐다.” 언어를 배우고 나자 마침내 그녀에게도 과거와 미래가 보이기 시작했다. 마치 TV 화면이 확 켜지는 것처럼 말이다. 이후 평생토록 켈러는 강연회와 저서를 통해 수많은 사람을 매혹했다. 여기에는 그녀의 독특한 외모만큼이나 그녀의 극적인 인생 이야기가 크게 한몫했다. 그녀는 언어의 본질을 깨달았다. 언어는 우리를 인간이게 하고, 우리에게 과거와 미래를 선물하며, 우리에게 꿈을 꾸고 계획을 세우며 목표를 정하고 실현하게 하는 힘이 있음을 말이다. 성과 제3법칙: 미래기반의 언어는 상황이 사람들에게 인식되는 방식을 변화시킨다. 리더십 결론 3: 리더들은 조직의 미래에 귀를 기울인다. 성과 제3법칙은 아주 근원적이고 독특한 가정에서 출발한다. 바로 언어를 사용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는 가정이다. 첫째는 서술적인 방법이다. 즉 언어를 사용하여 무언가의 현재 혹은 미래를 묘사하거나 설명하는 것이다. 서술적 언어는 종종 과거를 돌아보고 현상의 추이를 포착하여 미래의 상황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서술적 언어는 뚜렷한 한계가 있다. 당신은 그저 사건의 과거와 현재를 설명하는 것만으로는 새로운 무언가를 창조할 수 없다. 서술적 언어를 사용하여 미래를 설명하는 것은 과거 사건의 반복된 주기와 현재 상황에 기초한 예측에 지나지 않는다. ‘생성적 언어’라고도 하는 미래기반 언어는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고, 비전을 확립하며, 사람들이 가능성을 보지 못하도록 막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힘이 있다. 미래기반 언어는 상황이 인식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황이 인식되는 방식을 ‘변화’ 시킨다. 그것도 미래를 다시 씀으로써 말이다. #성과 #미래 #리더십 #책 #베스트셀러 #책추천 #스테디셀러 # #asmr #자아실현 #책추남 #나비스쿨 #책추천해주는남자 #book #reading #booktube 본 영상은 VREW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