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브리핑씨] 페이스북, 암호화폐 ‘리브라’ 발표 … 비트코인 적수 등장 / CBCNEWS, CBCTV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CBCTV #CBC뉴스 #CBCNEWS 페이스북이 자체 암호화폐 ‘리브라’(Libra)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리브라는 별자리 가운데 하나인 천칭자리를 의미합니다. 가치가 고정된 스테이블코인이며 메신저 왓츠앱을 통해서 개인 간 송금에 우선적으로 쓰일 계획입니다. 정식 출시는 내년이나 정확한 일자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페이스북은 18일(현지시간) 블록체인 프로젝트 ‘리브라’의 계획과 로드맵을 담은 백서를 공개했습니다. 이날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페이스북을 통해 “리브라는 2020년에 출시할 예정으로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다”며 “리브라는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람들을 위한 글로벌 금융 인프라 구축에 있다”고 전했습니다. 리브라는 먼저 개인과 개인 간의 송금 거래에 주력합니다. 페이스북과 메신저 왓츠앱, 인스타그램 등 자체 보유한 플랫폼에 모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나 우선적으로 왓츠앱을 통해 송금 기능이 활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리브라는 디지털 월렛 ‘칼리브라’(Calibra)에 보관할 수 있습니다. 일반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처럼 리브라를 주고받는 기능이 매우 간편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간 은행 서비스에 접근하기 힘든 금융 낙후국에서 리브라의 쓰임새가 돋보일 것이란 기대입니다. 실제 암호화폐 순기능을 언급할 때마다 전 세계 은행 계좌가 없는 17억 명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주장이 꾸준하게 언급됐습니다. 리브라도 이러한 긍정적 측면을 염두에 뒀고 상용화를 위해 순기능적 측면을 전면에 내세운 것으로 보입니다. 리브라는 점차 쓰임새를 넓혀 일반 결제 용도로 실물 경제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페이스북은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청구서에 지불이 가능하며 코드를 스캔해 커피를 사먹을 수 있다”며 “현금이나 교통카드 없이도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여러 서비스 제공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페이스북은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비트코인만큼 리브라가 주력 암호화폐로 성장하길 희망했습니다. 가치 변동이 거의 없는 스테이블코인의 특징을 입힌 것도 이러한 측면이 더해진 전략적 차원으로 풀이됩니다. 암호화폐는 그동안 극심한 시세변동으로 통화의 가치가 없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이러한 비판을 스테이블코인으로 정면 돌파하겠단 의지입니다. 나중 대출금과 신용 거래 서비스도 지원해 기축통화인 달러만큼 안정적인 자산임을 알릴 계획입니다. 또한 스위스 제네바에 소재한 비영리기구 ‘리브라 어소시에이션’이 리브라 전체 관리에 나섭니다. 정부 발행 통화 바스켓(기준환율 산정을 위해 가중치에 따라 선정된 통화 꾸러미)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암호화폐 가치를 유지할 방법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실사용자가 24억 명에 이르는 페이스북이 전력을 다해서 리브라 키우기에 나선다면 암호화폐 시장의 지각변동이 올 수 있다는 예상입니다. 특히 수수료가 없는 등 기존 금융 시장의 판세를 뒤엎을만한 커다란 위협 요인으로 부상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페이스북은 리브라를 개발해 올해 말까지만 직접 운영한 뒤 이후에는 27개 파트너로 구성된 커뮤니티에 운영권을 넘기고 공동 관리에 나설 계획이다. 파트너들은 비자, 마스터카드, 이베이, 우버, 페이팔, 리프트, 보다폰, 스포티파이, 코인베이스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이들은 서비스 안정화와 개발 자금 등에 쓰일 비용을 투자 명목으로 각각 1000만 달러(약 118억 원)를 각출했습니다. 페이스북은 서비스를 공식 출시하는 2020년까지 100개 업체가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파트너들은 일종의 노드 역할을 하게 되며 리브라의 가격 유지에도 관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진행 = 최서원 아나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