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도산서원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도산서원(陶山書院) 1. 개요 및 역사 퇴계 이황(李滉)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서원입니다. 이황 선생이 생전에 유생들을 가르치고 학문을 닦던 **도산서당(陶山書堂)**을 바탕으로, 선생 사후 그의 문인과 유생들이 1574년(선조 7년)에 사당과 강당 등을 추가로 지어 서원으로 완성했습니다. 1575년(선조 8년)에 임금에게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습니다. 현판 글씨는 명필 **한석봉(韓石峯)**이 썼습니다. 위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안동댐 주변) 2. 중요성 및 위상 대한민국의 사적 제170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2019년 7월 10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중 하나로 등재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성리학의 학문과 학파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사회와 정치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000원 지폐 뒷면의 디자인 소재로 사용된 바 있습니다 (1975년부터 2007년까지 발행된 지폐). 건축물들은 전체적으로 간결하고 검소하게 지어져 퇴계 이황 선생의 품격과 선비의 자세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3. 주요 시설 도산서원은 크게 도산서당 구역과 서원 구역으로 나뉩니다. 도산서당 구역 (퇴계 생전 교육 공간) 도산서당: 퇴계 이황 선생이 거처하며 유생들을 가르치던 가장 오래된 건물입니다. 농운정사 (隴雲精舍): 유생들의 기숙사입니다. 서원 구역 (퇴계 사후 건립) 전교당 (典敎堂): 서원의 중심 건물로, 유생들의 교육을 위한 강당입니다. '도산서원' 사액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전교당 앞마당 좌우에 있는 유생들의 기숙사입니다. 광명실 (光明室): 책을 보관하는 서고(도서관 역할)입니다. 동·서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상덕사 (尙德祠): 서원 가장 뒷쪽에 있는 사당으로, 퇴계 이황 선생의 신주를 모신 곳입니다. 4. 교육 및 학문 도산서원의 강학(講學)은 토론 중심이었으며, 성리학 관련 논쟁이 활발했습니다. 많은 성리학 관련 고서적과 목판을 보관하여 도서관 및 출판사 역할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