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한우 감축 부진...위기 불감증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한우값 #한우농장 #폭락 #한우 #가격 #안정 #암소 #선제적 #도축 #실제 #저조 폭락하고 있는 한우 가격이 안정되려면 사육 마릿수를 줄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암소를 선제적으로 도축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농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질 않아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강혁구 기자입니다. 한우 4백여 마리를 기르는 이 농가는 암소 40마리 도축을 신청했습니다. 새끼를 낳는 암소를 줄여야 한우 사육 마릿수가 줄어들고 그래야 한우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정기섭/김제시 성덕면 (한우) 한 마리 출하하면 3백만 원 정도 적자가 나는데 이것을 빨리 벗어나기 위해서는 농가 스스로 감축사업을 통해서 위기를 벗어나야 하지 않는가] 농협과 한우협회가 가격 폭락으로 위기를 맞은 한우 농가를 위해 암소 도축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암소를 선제적으로 도축하면 한 마리에 20만 원을 지원하거나 우수 씨숫소 정액을 제공합니다. 그런데 전라북도 한우협회의 경우 올해 도축 목표 3천7백 여 마리 가운데 1천4백여 마리, 39%만 농가의 신청을 받아 목표에 한참 못 미칩니다. 전국적으로도 농협의 도축 목표 물량 6만 마리 가운데 실제 도축이 이루어진 건 23%에 지니지 않습니다. 이렇게 암소 도축이 저조한 것은 일부 농가의 안이한 인식이 원인이라는 게한우업계의 설명입니다. [한우업계 관계자 솟값이 회복될 것 아니예요 암컷을 많이 잡으니까 나중에 가면...내 것은 안 팔고 남은 잡아 주기를 기다리는 그런 안일한 생각을 가진 농가들이 많이 있다는 얘기죠] 암소 도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가격 회복은 기대할 수 없고 이로 인해 한우 산업이 더 큰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의 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JTV 뉴스 강혁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