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러시아, 중국의 황금 쟁탈전!/"2025년 말까지 온스당 4,200달러까지도"/미국의 급소만 골라 타격하는 중국!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이번 방송에서는 안전자산이라는 금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미국의 무차별적인 관세전쟁의 여파로 역시 금이 최고의 안전자산이라는 믿음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금본위제로 돌아간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추세를 보면 금본위제로의 회귀입니다. 자국화폐의 가치를 금이 뒷받침해줄 것이란 판단에 각국이 금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4월 14일 러시아 매체 브즈글랴드는 러시아의 황금전략이 3배나 향상된 효율성 보여줬다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이 매체는 러시아의 금 보유액이 약 40% 증가해 역대 최고인 2,290억 달러어치를 기록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매첸는 러시아가 2014년 이후, 거의 7년 동안 열정적으로 금을 사들이기 시작했다면서 당시 1온스의 가격이 1,100~1,500달러였다면, 지금은 3,200달러가 넘는다고 전했습니다. 러시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3월 말 금 보유액은 38% 증가했습니다. 게다가 2022년 초부터 러시아의 금 보유액은 72%, 즉 960억 달러어치가 증가했습니다. 동시에, 지난 3년 동안 중앙은행 금고에 보관된 금의 물리적 양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약 7,500만 온스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금시세가 온스당 3,200달러를 돌파해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이 격화되면서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러시아 중앙은행은 크림반도가 국민투표를 통해 합병된 2014년부터 적극적으로 금을 매수하기 시작했습니다. 2014년부터 2020년까러시아 당국은 매년 적극적으로 금을 매입해 비축했습니다. 6년 동안 4,000만 온스의 금이 매수됐고 지금은 1온스의 가격이 거의 3배나 올랐습니다. Freedom Finance Global의 분석가인 블라디미르 체르노프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러시아의 금 및 외환 보유고에서 금 매수는 연평균 200톤씩 증가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고 러시아 예산 수입이 급격히 감소하고 지출이 늘어나면서 러시아의 금과 외환 보유고에서 금 증가율은 급격히 둔화되기도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화폐 측면에서 러시아의 금 보유액과 외환 보유액 중 금의 양은 계속해서 증가했습니다. 제니트 은행 분석 책임자인 블라디미르 에브스티페예프는 예를 들어 2024년에는 25% 성장했는데, 이는 주로 기록적인 가격 상승에 따른 재평가 덕분이라고 말했습니다. Freedom Finance Global의 블라디미르 체르노프는 2014년까지 러시아는 금과 외환 보유고를 엄격하게 다각화하는 전략을 구사했다면서 금과 미국 달러, 유로화뿐만 아니라 일본 엔화, 영국 파운드화, 스위스 프랑과 같은 다른 세계 기축 통화로도 보유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2022년 이후 러시아는 비우호적인 국가의 자산과 통화의 보유를 포기했는데 이는 집단서방이 외국계좌에 있던 러시아 자산을 동결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금은 늘 러시아에 저장돼 있기 때문에 서방이 건드리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 매체 브즈글랴드는 그동안 러시아의 금과 외환 비축 비율이 극적으로 변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러시아는 외환과 금 보유액에서 금의 비중을 2%에서 2014년까지 10%로 늘렸습니다. 그러다 2022년 초까지 금의 점유율은 두 배로 증가한 21%에 달했습니다. 그리고 2025년 3월까지는 35%를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동시에 러시아 중앙은행은 2018년부터 달러와 유로의 비중을 적극적으로 줄이기 시작했고, 2022년부터는 서방 통화를 완전히 포기했습니다. 대신 중국 위앤화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블라디미르 체르노프는 1990년대 러시아는 연방적자를 메우고 루블을 안정화하기 위해 금 보유고의 상당부분을 매각한 적이 있지만 이후로는 20년 이상 금 보유량을 적극적으로 늘려왔다고 말했습니다. 영국의 경우 1999년부터 2002년 사이에 약 395톤의 금을 매각한 적이 있습니다. 프랑스도 1960년대 프랑화와 정부지출을 지원하기 위해 금을 공격적으로 매각하기도 했습니다. 이 사건은 브레튼우즈 체제의 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2014년 이후 러시아에 이어 다른 세계 중앙은행들도 외환보유고를 위해 금을 매수하는 데 훨씬 더 적극적으로 나섰습니다. 정점은 정확히 2022년에 나타났습니다. 미국과 EU가 이전에는 불가능해 보였던 황당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러시아의 외환 자산을 동결한 것입니다. 그러자 러시아는 믿을 수 있는 안전자산인 금 보유량을 늘리기로 했고 다른 나라들 역시 금을 비축하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국가들이 두려움을 느껴 달러를 버리고 금 보유량을 늘리기로 결정했습니다. 미국이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미국 연준 뉴욕보관소에 있는 2262톤의 황금을 이미 베이징과 상하이의 금보관소로 옮겼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타이완의 시사평론가 차이쩡위앤은 그것은 가짜뉴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중국의 황금은 줄곧 베이징에 있었고 뉴욕에 있었던 적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독일이 자국의 금을 미국에서 옮긴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독일은 미국의 속국이라 금을 미국에 보관했지만 중국은 사정이 다르다고 차이쩡위앤은 설명했습니다. 지금 미국은 국채 때문에 난리가 났습니다. 미국은 특이하게도 채권시장이 주식시장보다 규모가 5배정도 큰 나라입니다. 미국의 맹우인 일본이 미 국채를 처분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내에서도 내부자가 채권을 매각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중국도 여기에 본격 동참하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자 미국은 발칵 뒤집혔습니다. 국제 금시세가 폭등하는 이유입니다. 4월 11일 국제금시세는 온스당 324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Marex의 분석가가 4월말쯤 금시세가 3200달러에 도달할 수도 있다고 예측했는데 이미 3200달러선을 뚫었습니다. 미국채가 제3세계 수준의 쓰레기 채권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골드만 삭스는 올해안에 금시세가 온스당 4000달러에 이를 수도 있으며 더한 경우 4200달러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중화권 귀금속 업체의 금 소매가격도 크게 오르고 있습니다. 저우성성, 라오먀오, 저우따푸의 경우 4월 7일부터 10일 사이 그램당 금시세가 47위앤, 39위앤, 43위앤씩 올랐습니다. 중국중앙은행도 5개월 연속 금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2월말 7,361만 온스였던 것이 3월 말에는 7,370만 온스로 늘어났습니다. 3:36 각국이 탈달러화릃 가속화하면서 중국도 황금을 축적해 위험분산에 나서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제가 금투자를 권유하는 것은 아닙니다. 참고로만 하시기를 바랍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중국은 미국의 급소를 샅샅이 골라 때리고 있습니다. 우선 중국은 미국산 대두를 사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240만톤의 대두 수입물량을 브라질로 돌렸습니다. 중국은 미국산 대두의 가장 큰 고객이었습니다. 절반이상을 중국에 수출하는 미국 대두 농가의 충격은 엄청납니다. 그렇지 않아도 대두가격이 40%나 내렸는데 중국이 사주지 않으면 대두농가들은 줄줄이 파산합니다. 미국 대두농들은 올해 농사는 완전히 망했다면서 울상입니다. 게다가 스페인의 산체스 총리도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과 만났습니다. 중국은 미국산 돼지고기 대신 스페인산 이베리코를 구입하기로 했습니다. 또 체리도 스페인산을 구매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당장 중국산 경공업제품의 미국 수출길이 막혀 중국도 일정정도 타격을 받겠지만 중국인들은 여기에 굴하지 않고 있습니다. 저쟝성 이우의 상인들은 아프리카나 중남미, 동남아시아의 대체시장을 개척하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 유럽연합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보복관세를 재검토할 의향이 있다는 메시지를 흘리고 있습니다. 미국은 사실 폭삭망한 뒤 임금수준이 크게 떨어져야지만 중국과 경쟁이 가능합니다. 아무리 프렌드쇼어링이고 뭐고 해봐야 현재의 높은 인건비로는 제조업을 살릴 수 없습니다. 경제논리고 뭐고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는 이치입니다. 물론 트럼프로서는 망해가는 미국을 멈추기 위해 뭐라도 해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미국은 백약이 무효입니다. 중국의 대표적 경제학자 정용녠은 미국이 대중관세를 500%로 올려도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면서 맘대로 해보라고 비웃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미 미국과 철저히 결별할 각오를 다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으로 인해 하늘이 무너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강한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