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삼성전자 산재 '은폐'..노동청 허술 (뉴스데스크 2020.10.16)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삼성전자 광주공장이 산업재해를 노동청에 보고하지 않았다가 과태료를 물었다고 며칠전 보도해 드렸는데요, 알고보니 그냥 보고를 누락한 게 아니라 조직적으로 은폐했다는 정황이 국정감사에서 드러났습니다// 삼성전자 노조는 사측의 산재 은폐가 이번만이 아니었고 산재를 신청한 노동자는 불이익을 받았다고 폭로했습니다. 이계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삼성전자 광주사업장에 대한 노동청의 조사 결과 11건의 사고성 산업재해가 노동청에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삼성전자에 7천 79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 노동청은 은폐 여부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행정 착오 등 단순한 보고 누락이 아니라 생산 현장 책임자와 팀장이 조직적으로 은폐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노동청의 설명입니다. (인터뷰)광주 노동청장 "저희가 보기에는 은폐 가능성이 있어 추가적으로 미보고가 은폐하고 연결됐는 지 엄밀하게 조사하고 있습니다." 국회 국정감사장에 증인으로 나선 삼성전자 노동조합 광주지부장은 노동청이 확인한 산업재해 사례는 지극히 일부만 드러난 것이라고 증언했습니다. 사업장에서 산재가 발생할 경우 조직적으로 은폐하고 산재 신청을 한 노동자에게는 인사상 불이익이 뒤따랐다고 폭로했습니다. 더욱이 노동청이 산재 실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삼성전자의 인사 부서를 동원하고 노동자의 실명을 기재하도록 하다보니 관련 면담조차 꺼리는 원인이 됐다는 겁니다. (인터뷰)노조 지부장 "(신고)양식을 접한 사고 재해자는 이 실명란을 본 순간 다른 누구에게 오픈되고 불이익을 당할 까봐 더욱 더 꼭꼭 숨어버리고 말았습니다" 결국 삼성의 조직적인 은폐 시도와 노동청의 허술한 조사 방식이 산재로 고통받는 노동자를 더 불안하게 만들고 노조 활동까지 위축시켰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이수진 의원 "조합원들은 매우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노동조합 조직 자체가 흔들리게 됩니다. 노동부가 일을 안 하느니만도 못 한 결과가 만 들어진 거에요." 광주지방노동청은 근골격계 질환 등 업무상 질병 재해로 보이는 37건에 대해 추가 조사하겠다고 밝혔지만, 노동자의 익명성이 보호받지 못한다면 그 결과는 변죽을 울리는 수준에 그칠거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계상입니다. #삼성전자, #산재, #은폐, #노동청, #이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