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KNN 뉴스] 지역문화진흥법, 10년 기다렸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지역문화계의 숙원이던 지역문화진흥법이 드디어 올 하반기부터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기존의 중앙정부 하달식 문화정책을 타파하고 풀뿌리 문화자치의 근간이 되는 것인데 벌써부터 지역 문화계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퍼:감만 창의문화촌/오늘 오후,부산 남구} 작가들을 위해 마련된 작업공간. 지난해 11월 문을 연 부산 감만 창의 문화촌 모습입니다. 예술문화분야 작가들은 물론 일반인들을 위한 공간도 마련돼 있습니다. 폐교를 활용해 복합문화커뮤니티 공간을 만든 것으로 지역문화공간의 좋은 사례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기반 문화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됐습니다. {수퍼:지역문화진흥법 하반기 시행} 지난 10년동안 지역 문화계가 줄기차게 제정을 촉구했던 지역문화진흥법이 드디어 올 하반기부터 시행되기 때문입니다. {CG} 지역문화 진흥법은 지역주민의 문화생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 활용으로 지역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마련된 법입니다.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돼 있습니다. {싱크:} {수퍼:박근혜 대통령(1월 6일 신년기자회견)/"지역에 있는 전문예술단체를 좀 더 육성해서 지역문화예술의 활성화에 중심이 되도록 할 계획"} 지금까지 문화정책은 정부 하달식으로 지역 문화계와 소통에도 문제가 많았습니다. {인터뷰} {수퍼:정귀인/부산대 예술대학 학장} "소통이 안된다' {수퍼:특색있는 지역문화 발전 기회} 지역문화진흥법이 시행되면 지역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정부의 직접 지원도 가능하고 창의 공간도 확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수퍼:조정윤/부산문화재단 기획홍보팀장} "지역에서 발언권을 갖고" {수퍼:구체적 시행령 마련안될 경우, 선언적 의미 그칠 듯} 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시행령이 마련되지 않아 자칫하면 선언적 의미에 그칠 우려도 있습니다. {수퍼:영상취재 박동명} 따라서 앞으로 얼마나 구체적인 시행령을 마련할 지 여부와 정부가 법안의 실행에 얼마나 제대로 예산을 배정하느냐가 지역문화진흥법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KNN 윤혜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