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녹색 노선에 들어온 청색 열차] 서해선 광역전철에 임시로 투입된 경강선 광역전철 전동차 탑승기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경강선과 서해선은 ATP 신호장치를 사용하여 영업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겉보기엔 같은 ATP라고 볼 수 있긴 하지만 이 두 노선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서해선은 ATP 보조신호기가 3현시 또는 2현시 신호기로 설치되어 있으나 경강선은 5현시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 신호기는 ATP 작동 불능 시 사용하는 보조신호기이기 때문에 정거장 구역 외 본선구간에서는 지상신호기를 신경쓰지 않고 ATP의 지령에 따라 운행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론상 운행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다원시스 서해선 2차분 차량을 전부 운행중지 시킨다면 서해선 열차 운행을 더 줄여야 합니다. 결국 차량부족 문제 때문에 다원시스 서해선 2차분 차량을 최소한이라도 투입하고 있는 것입니다. 경강선 차량은 주말에는 아예 나오지도 않더군요. ---------- 서해선 삼눈이 371×05(371G05)편성 K7211 원시행 → K7226 대곡행 경의중앙선 중기형뱀눈이 331×10(331C10)편성 K5047 용문행 서해선 삼눈이(2차분) 391×09(391G09)편성 K7228 대곡행 서해선 삼눈이 371×05(371G05)편성 K7231 원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