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질문왕' 키우자..."모든 교사가 에듀테크 활용해야" / YTN 사이언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교육부가 '모든 교사가 에듀테크를 활용해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을 한다'는 교육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챗GPT를 포함해 AI를 잘 사용할 수 있는 '질문왕'을 키우기 위해 수능도 IB, 국제 바칼로레아처럼 '포괄적 지식'을 묻는 식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장아영 기자입니다. [기자] 면바지, 운동화 차림의 이주호 사회부총리가 '교육부의 스타트업'이라고 최근 신설한 디지털교육기획국을 소개했습니다. [이주호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챗GPT는 전체 화이트칼라의 직무 영역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디지털 대전환, 대한민국 교육부, 디지털교육기획국에서 시작합니다.] 핵심은 사람과 기술, 즉 교사의 변화와 에듀테크 도입입니다. 한두 교사가 아니라 모든 교사들이 에듀테크를 자유자재로 사용해 수업을 변화시켜야 한다며 교사 연수와 에듀테크 시험공간 제공, 교육데이터 개방·활용까지 디지털교육기획국이 책임지겠다고 밝혔습니다. "챗GPT를 교실에서 쓰게 할 거냐" 이런 질문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게 교육부 안팎의 진단입니다. [이재영 / 서울 영림초 교사 : 아이들이 그런 기술을 쓰는 걸 자체에 대해서 우리(학교)가 거부하는 단계는 이미 지났다고 생각해요. (적극 활용하면서) 비판하고 자신이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20년 전 전화번호를 수십 개씩 외웠던 사람들이 휴대폰 등장 이후 그럴 필요가 없었듯, 30년 후, AI가 일상화 된 '싱귤래리티 시대'에는 뇌의 구조까지 변화한다고 봤습니다. [이광형 / KAIST 총장 : 1~2살부터 영상을 보던데 여기가 굉장히 발달할 거예요, 발달하고 있어요. 후두엽. 그리고 두정엽, 종합을 해야 되니까 여기는 발달하고. 미래에는 앞쪽이 작아지고 뒤쪽이 좀 커지지 않을까….] 이런 시대에 가장 중요한 건 '좋은 질문'을 할 수 있는 인재입니다. [하정우 / 네이버 AI랩 소장 : AI will not replace you, (AI는) 절대 여러분들을 리플레이스(대체) 하지 않습니다. A person using AI will 할 뿐이죠. AI를 정말 잘 활용하시는 분들이 여러분들을 대체하게 될 겁니다.] 전문가들은 수능에서도 IB, 국제 바칼로레아처럼 포괄적인 지식을 묻는 문제를 포함하고, 근본적으로 창의력, 소통 능력, 인성과 같이 시험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능력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YTN 장아영입니다. YTN 장아영 ([email protected]) #에듀테크 #교육 #챗GPT #교육부 #스타트업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 [프로그램 제작 문의]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