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시상하부의 공복중추와 포만중추, 그리고 궁상핵의 식욕조절 기능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안녕하세요. 휴한의원 노원점 김헌 원장입니다. 식욕의 조절은 직접적으로는 에너지 섭취에 관련되지만, 큰 틀에서 보면 에너지의 저장과 소비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조절 시스템으로 봐야 합니다. 우리 몸의 항상성 조절을 담당하는 시상하부에 식욕 조절을 담당하는 중추도 역시 위치하는데요. 식욕은 소화기와 같은 말초기관과 시상하부를 대표로 하는 중추신경계 사이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사이에서 벌어지는 복잡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식사를 하게 하거나 그치게 하는 단기적 작용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체지방량의 조절, 에너지 균형에 참여하는 시스템까지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식욕은 어떻게 조절되고 있을까요? 시상하부에는 배고픔과 배부름을 감지하는 공복중추와 포만중추가 있으며, 보통 이 둘을 합쳐 ‘섭식중추(feeding center)’라고도 합니다. 시상하부에서 복내측핵(ventromedial nucleus, VMN)이 ‘포만중추’로서의, 그리고 외측부위(lateral hypothalamic nucleus, LHA)가 ‘공복중추(기아중추)’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배고픔이든 배부름이든 직접적인 섭취 행위로 이어지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시상하부의 궁상핵(활꼴핵, arcuate nucleus, ARC)이 담당하고 있는데요. 제3뇌실 바닥 쪽 정중융기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궁상핵이 식욕 조절 행위의 핵심으로서 에너지의 전반적인 섭취와 소비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요. 진정한 의미의 섭식중추이자, ‘식욕조절중추(식욕중추)’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궁상핵 기능은 고립로핵을 통해 들어오는 미주신경의 정보들을 포함한 시상하부의 다양한 신경들이나 호르몬을 통해 중계됩니다. 이상으로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