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그랩‧고젝‧SEA‧라인‧VNG… 동남아 5대 테크기업, 디지털 경제판 뒤집는다” ‘아세안 슈퍼앱 전쟁’ 저자 고영경 박사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고영경 현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및 말레이시아 선웨이대학 경영대 겸임교수. 연세대 사회학과 학사, 지역학협동 과정 석사(동남아지역 전공), 고려대 경영학과 재무 전공 박사. 말레이시아 툰쿠 압둘 라흐만 대학과 유니타 인터내셔널 대학 경영학과 조교수 역임. 말레이시아 교육부와 거버넌스 연구소 등 현지 기관과 여러 대기업 해외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한국과 아세안의 자본시장과 대기업, 스타트업을 연구하며 국내외 저널에 논문 게재, 현재 ‘삼프로TV’에서 ‘고영경 박사의 말랑말랑 기업사’로 세계 기업의 역사를 전달하고 있으며 공저 ‘미래의 성장 시장 아세안’(2019), 역서 ‘유럽 2020 전략보고서’가 있다. 최근 ‘아세안 슈퍼앱 전쟁’ 출간. #고영경 #슈퍼앱 #라인 00:05 Q. 책 제목이 ‘아세안 슈퍼앱 전쟁’인데 플랫폼과 슈퍼앱의 차이는? 01:50 Q. 출발은 슈퍼앱이 아니지만 현재 카카오와 네이버는 슈퍼앱인가? 02:51 Q. 왜 글로벌 플랫폼 FFANG(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은 슈퍼앱이 되지 못했나. 03:15 Q. 중국에서 시작된 슈퍼앱이 아세안 국가에서 대성공을 거둔 이유는? 03:58 Q. 지금 우리가 동남아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05:46 Q. 2012년 말레이시아에 있는 대학에 부임했고 2021년 1월 다시 한국으로 왔는데 9년 사이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인가. 07:03 Q. ‘타다’의 실패에서 보듯 한국에서는 문어발 확장을 경계하는데? 07:34 Q. 아세안 슈퍼앱5의 성장 과정에서 특이점은? 11:35 Q. 태국에서 외국기업인 ‘라인’이 성공을 거둔 요인은? 12:56 Q. 라인의 성공 요인을 ‘현지화’를 넘어선 ‘문화화’라고 분석했는데. 15:10 Q. 우버가 그랩에 밀려 동남아 시장에서 실패한 이유는? 15:46 Q. 동남아에서 단숨에 모바일 퍼스트 시대가 올 수 있었던 이유는? 17:17 Q. 신용카드 건너뛰고 바로 전자지갑으로 가는 디지털라이제이션에 정부 규제는 없었나? 18:03 Q. 아세안의 변화를 듣다 보니 한국이 우물 안 개구리 같다. 18:36 Q. 슈퍼앱이 시장을 독점할 때 생기는 문제는 없나. 19:56 Q. 한국에선 카카오 같은 대기업이 골목상권을 넘보는 것에 대한 반감이 크다. 20:57 Q. 한국에서 슈퍼앱이 나올 가능성은? 어느 기업이 유망한가? 22:51 Q. 한국 테크기업들이 아세안 시장에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23:13 Q. 중국 정부의 규제가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나? 24:10 Q. 아세안 슈퍼앱의 기업가치가 쿠팡을 넘어선 이유는? 26:11 Q. 아세안 시장에서 한국 테크기업들이 기존 슈퍼앱을 넘어설 수 있을까? 27:01 Q. 개인투자자 관점에서 아세안에서 주목해야 하는 기업은? 27:49 Q. 개인적으로 투자한다면 어떤 기업을 선택할 것인가? 28:13 Q. 넷플릭스 같은 플랫폼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은? 29:41 Q. 아세안 진출을 준비하는 한국 기업들이 놓치기 쉬운 점은? 30:28 Q. 동남아에서 한류 인기는 어느 정도인가? 32:39 Q. 현지에서 한류 콘텐츠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아쉬웠던 점은? 33:57 Q. 동남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성공요인을 분석하면? 35:44 Q. 한국 기업들이 아세안 시장을 공략할 때 필요한 전략이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