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2024 서울놀이마당 정기상설공연 - K’arts 전통예술원 무용단 [전통춤의 향연]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K’arts 전통예술원 무용단]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는 궁중정재와 민속무용을 겸비한 유일한 학과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통해, 악(樂), 가(歌), 무(舞)와 함께하는 실기중심의 교육 기관이다. 전통춤의 복원과 원형을 바탕으로 현대적 계승 발전에 목표의식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창의 학습을 통해 전통춤 레파토리 개발과 전문예술가 양성에 힘쓰고 있다. 곡소개 1. 설장고춤 (01:41) 설장고춤은 태극무늬와 꽃을 형상화했으며 사물장단인 다스름-굿거리-연풍대-별달거리로 점점 고조되면서 춤놀이의 형식으로 새롭게 안무한 작품이다. 2. 부채춤 (08:09) 부채춤의 원작인 [김백봉부채춤]은 평안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1954년 김백봉에 의해 창작된 작품으로 한국 전통춤이 근현대 과정 속에서 성장하고 꽃피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춤이다. 평안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면서부터 기존의 [부채춤]으로 통용되던 작품명을 [김백봉부채춤]으로 명명하고 보유자 안병주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양손에 부채를 들고 그려내는 부드러운 곡선과 음양의 조화가 매력적인 [김백봉부채춤]의 형태적 특징은 중후함, 유연함, 탄력성을 들 수 있으며 한국적 정서가 깊게 묻어나는 독특한 예술미학적 기법 등이 특징이다. 굿거리와 자진모리장단으로 이루어진 반주음악은 흥겹고 경쾌한 리듬이 역동적인 춤사위로 창출되며 八字형과 之字형으로 태극선과 포물선 상의 곡선을 만들어가는 부채 사위의 기본적 구조는 자연의 이치를 근본으로 삼아 묘사된다. 3. 한량무 (14:14) 한량무는 한량, 색시, 승려가 등장하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의 극적 4인무 중 한량의 의연한 기품과 역동성을 담아 구성한 춤이다. 특히 춤사위의 절제미와 정중동의 응축미로 흥과 멋이 모두 녹아있으며 한국춤 가운데 대표적인 남성춤으로 손꼽힌다. 이매방의 한량무를 기반으로 채상묵이 재구성하여 즉흥적이면서도 다양한 남성적 춤사위를 이어가고 있다. 4. 사랑가 (22:20) 판소리 춘향전 중 사랑가 사설에 이몽룡과 성춘향의 애뜻하고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를 현대적 감성으로 아름답게 재구성한 작품이다. 5. 소고춤 (30:58) 최종실류 소고춤은 우리 민족 예술의 역사와 함께 탄생된 풍물 또는 남사당패의 연희춤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우리 민족의 영원과 사상을 담고 있는 미학의 춤, 타무로도 불린다. 이에 오늘날 최종실류 소고춤 보존회를 설립해 수많은 예술인들에게 전승되고 있으며 하나의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종실류 소고춤은 소고놀이의 독특한 춤사위와 가락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여 복원시킨 춤으로 경쾌하면서도 절도 있게 몰아치는 춤사위가 특징이다. 소고춤의 형식은 길놀이, 굿거리, 자진모리, 동살풀이, 휘모리 순으로 사물놀이 연주와 태평소 반주가 춤을 이끌어가며 치고, 달고, 맺고, 풀고 하는 장단에 맞추어 소고를 두드리는 가락에서 나오는 흥과 신명나는 몸짓을 통해 혼을 담은 춤이다. 6. 태평무 (40:45)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어 명가 故 강선영에서 보유자 양성옥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태평무는 당대 최고의 명무이신 故 한성준에 의해 구성되었다. 전래의 왕십리 당국에 특이한 무속장단을 바탕으로 경쾌하고 절도가 있어 우리 민속춤만의 정중동의 흥과 멋을 지니고 있다. 태평무가 어느 시기부터 전승되었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문헌 기록이나 구전으로 보아 약 100년 전부터 추어 왔던 춤임에는 틀림없다. 태평무의 내용은 나라의 풍년과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뜻을 담고 있으며, 또한 위엄과 격조가 높으면서도 경쾌하고, 가볍고도 절도 있게 몰아치는 발 디딤새가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음악은 경기 도당굿으르 토대로 낙궁, 터벌림, 섭채, 올림채, 도살풀이, 자진도살풀이로 구성되어 있고 우리 민속음악의 대표적인 가락과 장단이 고루 어우러져 매우 독특하며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송파구 #송파구청 #국악 #전통 #서울놀이마당 #한예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전통춤 #전통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