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인간이 만든 가장 효율적인 정치체제는 독재예요" l 진짜 공론장 찾기 2편 | 씨리얼 사회탐구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씨리얼은 더 나은 공론장을 이야기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생활속민주주의학습지원센터]의 제작지원을 통해 이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청소년기후행동과 행동하면 할수록 너무 안타깝고 답답한 것 같아요. 교과서에 나오는 건 항상 플라스틱 아끼는 것, 차를 타지 않고 대중교통을 타는 것, 항상 나의 생활을 바꿔야 하는 것밖에 없고 내가 살고 있는 시스템을 바꾸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 뭘 해야 하는가에 대한 건 아무것도 없는 거예요. 나를 바꿔서 안 되는 문제들이 너무너무 많은데 그럴 땐 어떻게 해야 돼? 물음에 도달하게 되면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는 거죠. 애들이 뭘 알아, 니가 뭘 안다고 그런 말을 해, 라는 게 아니고 너의 의견을 존중해, 니가 왜 이런 생각을 했는지 말해줄 수 있겠어? 아무리 어리더라도 의견이 존중받는 문화가 있었으면, 변화를 만들 수 있다라는 인식이 더 퍼질 것 같아요." - 청소년기후행동 활동가 김유진 당사자가 모이는 것. 각자의 독백에서 벗어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여기서 '중립'은 가장 중요한 기준이 아닙니다. 공공선을 이야기할 수 있는 마음가짐만 있다면 말입니다. 135명의 씨리즌이 남겨주신 설문지에서 가장 많이 보였던 단어는 '존중'과 '안전'이었습니다. 나의 의견이 무조건적으로 부정당하지 않는, 위계 없는, 혐오와 배제가 없는, 안전한 공간을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현실에서 이러한 공간을 한 번이라도 경험해본 적 있냐고 되물었습니다. 특정 공간을 떠올린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우리는 왜 경험하지 못했을까요? 어디서부터 다시 훈련해야 할까요. #공론장 #공론화 00:00 세월호 사건이 터닝포인트 03:31 동료를 만나는 방법 07:06 우리가 공론화 방법을 잘 알지 못하는 이유 10:22 일상적으로 훈련하기 👉서울특별시 생활속민주주의학습지원센터 http://www.seoulminjucenter.kr ㅡ 씨리즌의, 씨리즌에 의한, 씨리즌을 위한 씨리얼 '구독'하고! 더 많은 곳에서도 퍼묵퍼묵🥣 인스타그램: / creal.official 페이스북: / creal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