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유행가 개작판(改作版) '서울 노래'(동아일보 당선 가사)[채규엽(蔡奎燁) 노래. 1934.4. 콜럼비아레코드(Columbia Record)]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유행가 개작(改作) '서울 노래'(동아일보 당선 가사)[채규엽(蔡奎燁) 노래. 조명암(趙鳴岩) 작사, 안일파(安一波) 작곡, 인목타희웅(仁木他喜雄. 니키 타키오) 편곡(編曲). 1934.1. 콜럼비아레코드(Columbia Record)] [가사(歌詞)] 1. 한양성(漢陽城) 옛터에 종(鐘) 소래 스며들어 나그네 가슴에도 노래가 서립니다 2. 한강(漢江) 물 푸른 줄기 말없이 흘러가네 천만년(千萬年) 두고 흐를 서울의 꿈이런가 3. 밤거리 서울 거리 네온(neon)이 아름답네 가로수(街路樹) 푸른 잎에 노래도 아리랑 4. 꽃 피는 한양성 잎 트는 서울 거리 앞 남산(南山) 피는 구름 서울의 넉이런가 【주(註)】 ※ 음반에 기재(記載)된 ‘동아일보 당선(當選)’은, 실제(實際)는‘동아일보 가작(佳作) 입선(入選)’이며, ‘조명암(趙鳴岩) 작사’는 ‘조명암(趙鳴岩) 개사(改詞)’이어야 사실(事實)에 부합(符合)함. 일제(日帝)의 검열(檢閱)을 통과(通過)하려다 보니, 수차(數次)의 개사(改詞) 과정을 거쳐서 취입(吹入)한 노래이기 때문. • 꿈이런가 = ‘꿈이던가’의, 발음(發音)의 유연성(柔軟性)을 위한 전통적(傳統的) 음운(音韻)의 변화(變化). 《예》‘어즈버, 태평연월(太平烟月)이 꿈이런가 하노라,’〈고려(高麗) 말(末) 시조(時調), 길 재(吉再)〉 • 넉이런가 = ‘넋이런가’의 잘못된 발음(發音). ※ 연음 법칙(連音法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