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충북 단양군 매포읍 하시리 마을풍경 - 20250331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하시리마을 풍경입니다. 연혁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생선암(生鮮岩)과 삼산동(三山洞)을 병합하여 하시리라 해서 매포면에 편입 되었다. 특성 단양군 북일면(北一面) 지역으로 옛부터 곡식이 잘되고 싯들 아래쪽이 되므로 아래싯들 또는 하시평(下詩坪)이라 하였는데, 매포읍사무소 평동 이전으로 읍 소재지 인접마을이 되어 5번국도 4차선 개통과 중앙선 전철화 사업으로 논 경지 잠식이 많다. 산천 및 지명유래 안동고개 : 음짓말에서 바깥안동으로 가는 고개. 지푸실 : 상시와 하시의 경계지역. 상시의 정씨 집안에서 묘를 쓰는데 지나가는 스님이 현재는 먹고살기에는 좋으나 철마가 울면 좋지 않다고 했는데 과연 100여 년이 지나 중앙선 철길로 기차가 기적을 울리며 지나갔다. 돌고개 : 양짓말에서 평동리 깨배이재로 가는 고개. 마상 : 馬山. 마을이 말의 안장 형국과 같이 생겼다. 뒷골 : 음지마을 뒤에 있는 골짜기. 생산바위 : 상여와 같다는 것을 말을 바꾸어서 상여바위 대신 생산바위라고 함. 장영평제사날 : 장영평과 김소산 부부가 금실 좋게 살면서 삯바느질과 품팔이를 하여 평생 모은돈과 2,200평의 땅을 마을에 희사하자 마을에서는 1년에 한 번 제사를 지내는것으로 답례하고 있다. 매년 음력 11월 10일이 마을 제삿날이고 이장, 노인회장, 지도자가 헌관이다. 싯들(시평) : 하시와 상시에 걸쳐 있는 마을로 시평이라고도 한다. 양짓말 : 하시의 따뜻한 양지쪽 마을로 동남향이다. 우리미골 : 옛날 시집가서 아기를 낳아 업고서 길을 잘못 들어서 울면서 지나갔다고 하며 골짜기도 길고 가마 타고 올 길을 고생고생 하면서 갔다는 데서 유래됨. 숲들 : 하상이 정리되기 전에는 자연으로 우거진 숲이었다. 삼산동(三山洞) : 군말. 샘물과 느티나무가 있어 매년 정월 동고사를 지냄. 하시평 : 下詩坪. 하시들을 하시평이라 함. 굽말 : 마을의 형상이 말의 발굽과 같은 형상임. 가진재 : 나무꾼들의 쉼터로 나무짐을 잘 정리 정비하였다. 딴봉 : 생선바우 북동쪽에 외따로 있는 둥근 산. 이광산 : 삼산동 동쪽에 있는 산. 지소양달 : 아래싯들의 양지쪽에 있는 산. 전에 종이를 뜨는 지소가 있었음. 서낭당터 : 뱀골에서 안동으로 가는 고갯마루의 남자 서낭당과 마산 가산 밑 마뚝에 여자서낭당이 있다. 남자 서낭당, 여자 서낭당 순으로 불을 켜며 발복, 자손번창, 마을의 안녕 등을 기원하며제를 지낸다. 음짓말 : 하시리의 북쪽으로 양지보다 해가 덜 드는 마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