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참빗살나무의 신기한 수술 : 장주화? 단주화?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1316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 #물뿌리나무) #노박덩굴과 1317 #좀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var. maackii ( #좀챔빗나무) 노박덩굴과 1319 #좁은잎참빗살나무 Euonymus maackii ( #두꺼운회나무) 노박덩굴과 1318 참빗살나무 ' #팝콘' Euonymus hamiltonianus 'Popcorn' 노박덩굴과 {장주화? 단주화? 참빗살나무}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펴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참빗살나무 참빗살나무는 #참빗의 #마구리(참빗의 양 끝에 대는 넓적한 부분)를 이 나무로 만들었기 때문에 ‘참빗살’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참빗살나무의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 , #러시아 , #중국 , #일본 , #대한민국 , #인도 , #네팔 , #파키스탄 , #부탄 , #태국 , #미얀마 등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참빗살나무는 #황해도, #강원도,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제주도 등에서 산기슭이나 산 중턱, 하천 유역에 #자생하고 있습니다. 참빗살나무는 #추운 #기후와 도시의 #공해에도 잘 적응하여 살고 있으며, #수분이 적당한 #사질양토를 좋아하는 나무이면서, #소금기에도 강하여 #해안지방에서도 잘 자라는 나무입니다. 참빗살나무는 전 세계적으로 #공원이나 #정원의 #조경용으로 사랑받으면서 #재배되고 있는 나무기도 합니다 참빗살나무는 #높이 3~8m 정도 자라는 #작은키나무( #소교목)입니다. #나무껍질( #수피)는 #회갈색이며 매끄럽지만, 오래된 나무껍질은 세로로 굵게 갈라집니다. 참빗살나무의 #꽃은 5~6월에 길이 3~6cm 정도의 #작은모임꽃차례( #취산화서)가 #햇가지 아랫부분 #잎겨드랑이( #엽액)에 #쌍성꽃( #양성화)이 달립니다. #꽃대는 길이 20~25mm 정도이며 한 #꽃차례( #화서)에 3~12개의 연한 초록색 꽃이 모여 달립니다. 꽃은 #지름 10mm 정도이며 #수술과 #꽃잎 #꽃받침, #씨방 #암술대 등이 각각 4개씩인 #4수성입니다. 참빗살나무는 #개나리나 #미선나무, #만리화처럼 #장주화 꽃도 있고, #단주화의 꽃도 핀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암술대의 길이가 #수술대보다 길면 #장주화, #암술대의 길이가 #수술대보다 짧으면 #단주화라고 구분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암술대의 길이가 길고 짧은 것이 아니라 암술대의 길이는 #변함이 없고 #수술대의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것으로 보입니다. #장주화( #長柱花), #단주화( #短柱花)의 #주(柱)라는 #글자는 암술대를 뜻하므로 장주화, 단주화라는 표현은 잘못된 표현인 것 같습니다. 장주화. 단주화보다는 #긴수술꽃( #장웅예화 #長雄蘂花 ), #짧은수술꽃( #단웅예화 #短雄蘂花 )라고 하거나, #긴수술대꽃( #장화사화 #長花絲花 ), #짧은수술대꽃( #단화사화 #短花絲花 )라고 쓰는 것이 맞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잎은 #마주달리며( #대생) #바소모양의 긴 #길둥근꼴( #장타원형)이고, #잎밑( #엽저)과 #잎끝( #엽두)이 뾰족합니다. 잎은 길이와 폭이 각 11~15cm × 2~8cm 정도이며 #잎자루 길이는 5~7mm 정도이고, 잎 가장자리에는 고르지 않고 둔한 물결모양의 #잔톱니가 있습니다. 잎 양면에는 #털이 거의 없습니다. #열매는 #4갈래로 갈라지는 #튀는열매( #삭과)이며, 10월에 연한 #분홍색으로 익으며, #지름 10mm 정도입니다. #열매에는 4개의 둥근 #모서리( #능각)가 있지만 #날개는 없습니다. #열매껍질( #과피) 속에 #단맛이 나는 #헛씨껍질( #가종피)에 싸인 빨간색 #씨앗이 보통 4개씩 들어 있습니다. 참빗살나무의 #목재는 #단단하기 때문에 예전에는 #도장이나 #지팡이로도 쓰였다고 합니다. 참빗살나무의 #나무껍질( #수피)과 #열매를 #한방에서는 #사면목( #絲綿木)이라고 합니다. 사면목은 #통증과 #류머티즘성 #관절염, #요통 #마비증세를 다스리는 #약재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참빗살나무 #가지로 #바구니를 만들기도 하였으며, 봄에 돋는 #새순은 #나물로 먹었습니다. 참빗살나무의 #잎은 #약이 되고 열매로 #술을 빚기도 합니다. 참빗살나무의 열매는 한겨울에 #새들의 겨울 식량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아래를 클릭하여 동영상 강의를 볼 수 있습니다. • 참빗살나무의 신기한 수술 : 장주화? 단주화? #단주화 #장주화 #4수성 #취산화서 #작은모임꽃차례 #꽃대 #꽃자루 #소화경 #암술대 #씨방 #수술대 #꽃밥 #이생 #합생 #꽃받침 #튀는열매 #삭과 #열매껍질 #과피 #헛씨껍질 #가종피 #씨앗 #모서리 #능각 #잎자루 #복봉선 #능각 #햇가지 ***************************************** ▶유튜브 나무 도감 무료 구독하기 https://bit.ly/3hXthc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