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최동락의 한시산책 1. (오언절구(五言絶句)란 어떤 형식의 시(詩)인가?)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한시 #당시 #오언절구 #운(韻) #평측(平仄) ▶ 최동락의 노자 강의 (총 81강 전체목록) • 최동락의 노자 강의 전체 동영상 - 풍류사랑TV ▶ 장자 강의 (총 101강 전체 목록 ) • 최동락의 장자 강의 (남화경) 전체 목록 - 풍류사랑TV ▶ 주역 계사전 강의 (총80강 전체 목록) • 최동락의 주역 계사전(繫辭傳) 강의 - 풍류사랑TV ▶ 주역 설괘전 강의 (전체 목록) • 최동락의 주역 설괘전(說卦傳) 강의 - 풍류사랑TV ▶ 하락연의 강의 (총 73강 전체 목록) • 최동락의 하락연의(河洛演義) 전체 목록 - 풍류사랑TV 오언절구(五言絶句) 1. 오언절구(五言絶句)란 어떤 형식의 시(詩)인가? 1) 일행이 다섯자(字)로 된 시이다. 2) 총 4행(四行) 20자(字)이다. 2. 오언절구의 기원은 언제부터인가? 1) 악부시(樂府詩)에서 출발하였다. 2) 악부시는 한대(漢代) 악부(樂府)란 관청에서 수집한 시들이다. 3) 이 악부시에서 오언시가 첨으로 등장하였다. 4) 오늘날 남아있는 오언시는 후한(동한) 말의 고시(古詩) 19수(首)가 전부이다. 5) 오언시는 시경(詩經)의 사자(四字)와 초사(楚辭)에서 발전한 형식이다. 6)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를 지나면서 오언시가 완전한 형태를 잡았다. 7) 도영명(陶淵明)은 오언시에서 뛰어난 시를 많이 남겼다. 8) 오언절구는 남북조시대에 첨으로 등장하게 되었지만, 당대(唐代)에 와서 확실한 시의 형태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3. 오언절구의 형식과 작법(作法) 1) 한 행에 다섯 자(五字) 사행(四行)이라야만 한다. (총 20字) 기승전결(起承傳結)의 사행(四行)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둘째행과 넷째행의 끝자는 꼭 운(韻) 자(字)를 맞추어야 한다. 운은 평성(平聲)이라야만 하지만, 혹 측성일 경우는 고시(古詩)로 분류 된다. (운(韻)은 동국정운(東國正韻) 표를 참고. 한자 자전에도 사성(四聲)의 운이 있다.) 3) 일행 다섯 자도 또한 사성(四聲), 즉 평성과 측성(平仄)을 맞추어야 한다. 4) 오언절구는 정격(正格)과 편격(偏格)으로 나누어 진다. ㄱ) 정격(正格), 또는 측기식은 첫행(起句)의 둘째 글자가 측성(仄聲) ㄴ) 편격(偏格), 또는 평기식은 첫행(起句)의 둘째 글자가 평성(平聲) 5) 오언절구를 팔행(八行), 즉 절구(絶句) 두 수를 이으면, 오언율시(五言律詩)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