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sp시대 여류명창 36 대관강산 ㅡ 신금홍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신금홍(申錦紅, 1906-1942) 1906년 대구에서 태어나 박기홍(朴基洪)·박중근(朴重根)·김정문(金正文)에게 소리를 배웠고, 진주권번의 가야금사범 이선주(李善珠)에게 가야금을 배웠다. 장기는 춘향가·심청가·흥보가이지만, 가야금에 능하고 가야금병창에도 뛰어난 재주를 보였다. 20대 초에 상경하여 김창환·송만갑·이동백을 비롯해 이화중선·김초향·김추월 등과 함께 활동한 명창이다. 1927년 2월 17~20일 조선고가무회(朝鮮古歌舞會) 주최 조선명창대회 때 출연했고, 1927년 8월 12일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 주최 DK명창대회 때 이동백·강소춘·이화중선·김추월과 함께 방송하였다. 1930년 9월 15일에 열린 팔도명창대회 때 출연했고, 1931년 9월 21~23일 제2회 팔도명창대회 때 출연했으며, 1931년 12월 29일 독자위안 조선음악무용대회 때 출연하였다. 1934년 5월 30일~6월 1일 원산고아원을 돕기 위한 조선명창대회 때, 1936년 7월 15~16일 여류명창대회 때, 1936년 8월 28~29일 수해구제구악대회 때, 그리고 1940년 1월 15~16일 조선음악연구회의 일류명창대회 때 출연하였다. 1931년 팔도명창대회 방송을 위해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에 출연했고, 1927~1935년 경성방송국에 출연하여 "공명가"(孔明歌)·"달거리"·"보렴"(報念)을 포함한 10여 곡의 노래를 방송하였다. 1930년대 "육자배기"·"흥타령"·"성주풀이" 등의 남도민요를, 그리고 "긴육자배기"·"삼남산타령"·"흥타령" 등을 취입했다. 1942년 대구에서 세상을 떠났다. 일제강점기 그녀가 취입한 "광한루 경개가"(廣寒樓景槪歌)·"긴육자배기"·"반도명창"(半島名唱)을 포함한 10여 곡의 노래는 일축(日蓄)조선소리반에, 그리고 그녀가 취입한 "개고리타령"·"백구타령"·"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흥타령"은 일축(日蓄) 제비표 조선레코드에 전한다. 일제강점기 그녀가 취입한 "사당하직"(祠堂下直)·"심봉사 자탄하는데"·"심청 선인 따라가는데" 등은 일본 콜럼비아음반에 전하고, 김정문·심영·남궁선과 함께 취입한 "광한루(廣寒樓)의 가연"(佳緣)·"상산사호"(常山四皓)·"수궁에 가는 길" 등의 노래는 시에론음반에 전한다. 최정식과 함께 취입한 "노래가락"·"신자기타령"·"장긔타령"은 오케음반에 전하며, 그녀가 취입한 가야금병창·"과거보는데"·"광한루 경개가"를 포함한 20여 곡은 『조선레코드총목록』에 전한다. 일제강점기에 취입한 음반으로는 Columbia 40171(춘향전 십장가)·40261AB(륙자박이 및 자진륙자박이), 일축 527~A(흥타령)·B(사랑가) 외 5매, Chieron 501AB(춘향전전집), 제비표53~A(흥타령)·B(개구리타령), Okeh 1849AB(륙자박이 및 자진륙자박이) 외 5매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금홍 [申錦紅] (한겨레음악대사전, 2012. 11. 2., 송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