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ipSaver
  • dtub.ru
ClipSaver
Русские видео
  • Смешные видео
  • Приколы
  • Обзоры
  • Новости
  • Тесты
  • Спорт
  • Любовь
  • Музыка
  • Разное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 Фейгин лайф
  • Три кота
  • Самвел адамян
  • А4 ютуб
  • скачать бит
  • гитара с нуля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 Funny Babies
  • Funny Sports
  • Funny Animals
  • Funny Pranks
  • Funny Magic
  • Funny Vines
  • Funny Virals
  • Funny K-Pop

1945년 해방후 농촌 풍경(A country scene after liberation in 1945) скачать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1945년 해방후 농촌 풍경(A country scene after liberation in 194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скачать видео

скачать mp3

скачать mp4

поделиться

телефон с камерой

телефон с видео

бесплатно

загрузить,

Не удается загрузить Youtube-плеер. Проверьте блокировку Youtube в вашей сети.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1945년 해방후 농촌 풍경(A country scene after liberation in 1945)
  • Поделиться ВК
  • Поделиться в ОК
  •  
  •  


Скачать видео с ютуб по ссылке или смотреть без блокировок на сайте: 1945년 해방후 농촌 풍경(A country scene after liberation in 1945) в качестве 4k

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1945년 해방후 농촌 풍경(A country scene after liberation in 1945)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

Скачать mp3 с ютуба отдельным файлом. Бесплатный рингтон 1945년 해방후 농촌 풍경(A country scene after liberation in 1945) в формате MP3: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1945년 해방후 농촌 풍경(A country scene after liberation in 1945)

1945년 해방후 미군정청에 근무한 직원이 김포 등 수도권 주변 농촌을 배경으로 촬영한 칼라 슬라이드 사진( A photo of a collar slide taken by an employe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liberation in 1945 against the backdrop of rural areas arou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uch as Gimpo) #시골 #풍경 #시골풍경 #시골 풍경#농촌 #농촌풍경 #농촌 풍경 #1945 #옛날 농촌 #해방 #옛날사진 #옛날 시골 #광복 #광복80주년 [영상 소개] 1948년 해방후 우리들 농촌 마을 풍경, 농촌 사람들의 일상 생활 모습 우리 주식인 쌀을 생산하기 위한 볍씨 파종에서 모내기, 김매기, 물 대기, 수확하는 풍경 식량을 보조하기 위한 보리, 조, 콩, 팥 등을 수확해서 타작하는 모습 곡식을 도정하고 음식을 만들기 위한 디딜방아, 물레방아, 멧돌, 절구통을 이용한 생활 모습 아마도 한국 농촌 풍경은 새마을운동 하기 전까지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봅니다. 새마을운동 시점에 경운기(소로 논갈기 없어짐), 양수기(물 푸는 도구 사라짐), 모 이양기( 모내기 장면 사라짐), 벼 배는 기구 콤바인(낫으로 벼 배기, 탈곡 모습 함께 업어짐) 등 기계화된 장비가 등장 하면서 오늘날 농촌은 옛날과 완전히 달라 졌습니다. 또한, 휘발유로 구동하는 발동기가 출현하면서 물레방아, 디딜방아, 맷돌, 절구통이 사라지기 시작하여 오늘날 귀한 물건이 되었습니다. 질문이 많아서....여기 나오는 영상 사진은 원래부터 칼라(일명 슬라이드 필름) 입니다. 이 필름을 스캐너로 스갠 했습니다. 당시에는 칼라 슬라이드 필름은 환등기에 사용 했습니다, 베이붐 세대까지는 환등기를 잘 알 겁니다.(나중에 이 필름을 어떻게 스캔하는지 영상을 한번 올려 볼 예정 입니다). 다만 이 당시에는 칼라 현상 기술이 부족해서 칼라 사진이 없고, 흑백 사진만 현상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Introducing the video] The landscape of our rural village after liberation in 1948 and the daily life of the rural people Rice planting, seeding, waiting for water, and harvesting scenes from rice seed sowing to produce our staple food, rice Harvesting and threshing barley, millet, beans, red beans, etc. to subsidize food Life using didilbanga, water wheel, metal stone, and mortar to mill grain and make food Perhaps the Korean rural landscape did not change much until the Saemaul Undong. At the time of the Saemaul Undong, mechanized equipment such as cultivators (losing rice paddies), water pumps (water-sweeping tools), moyanggi (losing rice planting scenes), and rice boats (losing rice exhaust and threshing on their backs) appeared, making rural are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old days.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gasoline-powered engines, waterwheels, didilbanga, millstones, and mortar containers began to disappear, becoming valuable items today. I have a lot of questions....the video photo here is originally a color (aka slide film). I used to swipe this film with a scanner. Back then, we used color slide film for the refit, until the Bayboom generation, we know the refit. (We're going to upload a video of how to scan this film later). However, I understand that at this time, there was no color photo due to lack of color development technology, and only black and white photos were developed. [참고 자료] 보릿고개 : 인터넷 나무위키 보리타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홀테 : 원주시역사박물관 모내기 : 한국민속대백과사 쟁기 :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써레질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용두레 : 한국민속문화대배과사전 맞두레 :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용골차 : 인터넷 위키백과 도리깨질 : 서울역사박물관 와룡기 : 연합뉴스, 전통 벼타작 체험(2015.10.15) 키 : 네이버백과사전, 한국의 농기구 디딜 방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물레방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멧돌 : 원주시역사박물관 절구통 : 디지털논산문화대전 초가집 : 전통문화포털 원두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바가지: 나무위키 외양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엉 : 한국민족문화대백 달구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음악: 한국저작권위원회] J. Pachebel_Canon, Canon_ 캐논변주곡_국악, Into Nature [사진: 한국저작권위원회] 1952년 10월 김포 들녁의 콩 수확 모습, 1952년 10월 김포의 농가 마당에서 고추를 말리고 콩을 터는 여인, 1952년 10월 김포의 농가 마당에서 절구질로 조를 터는 여인, 1952년 10월 김포지역 농가에 탈곡한 마친 볏 집단을 곳곳에 세워 놓은 모습, 1952년 9월 김포 농가의 원두막, BK0029_1951년 물레방앗간 외부 모습, 1951년 대구 K-2비행장 외곽 논의 모심기를 위한 모판 정리, 1952년 봄 부산 남구 대연동에서 보리밭을 손질하는 여인들

Comments

Контактный email для правообладателей: [email protected] © 2017 - 2025

Отказ от ответственности - Disclaimer Правообладателям - DMCA Услови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айта - TOS



Карта сайта 1 Карта сайта 2 Карта сайта 3 Карта сайта 4 Карта сайта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