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윤석열내란 진압 1주년 03] 4.19혁명, 6월항쟁, 촛불혁명 시민이 함께 공유한 개벽의 꿈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흔들리는 분단체제』 김종엽 교수 통합본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윤석열내란 진압 1주년 특집] 87년 이후 세계와 한반도의 근본 변화 포착한 백낙청 교수의 통찰 2023년 10월 26일 녹화한 한신대 김종엽 교수 통합본 김종엽 한신대학교 사회학 교수 백낙청 서울대학교 영문과 명예교수, 『창작과비평』 명예편집인 “한반도에 분단체제라는 것이 있다면, 그것이 몹시 흔들리는 중이라는 점만은 분명하다.” Q. 이론이 현실을 따라잡은 ‘인식론적 만회’의 계기는 어떤 것이었나요? 서양 사회과학 이론에는 없는 한반도 특유의 ‘분단상황’ 남북한 전체에 걸쳐 체제화된 분단체제, 87년 전후 흔들리기 시작 현존 세계체제에서 중대한 고리 형성하는 독특한 하위체제 “분단체제 허무는 사업, ‘사회주의체제’를 하나 더 건설하는 것보다 훨씬 뜻깊은 성취” Q. 분단문제 중시하면 곧 민족주의적 운동으로 여기던 시절에 이런 주장을 하신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어느 한 국가의 사회주의체제 표방보다 세계체제 차원의 한반도 분단체제 해소가 더 큰 변혁일 것 Q. 세계체제의 중대한 변동 속에서도 여전히 분단체제론의 입장을 견지하고 계신지요? 세계체제의 중요한 요소이기에 독일·베트남과 달리 한반도에 살아남은 분단체제 한반도의 분단체제 극복은 세계체제 바꾸는 엄청난 사건 될 것 Q. 미중경쟁 이전의 헤게모니 변동과 어떤 점이 같고 다를까요? 단절됐던 미소관계와는 다른 미중관계 서유럽 마셜플랜과 한국경제 이끈 미국의 원조 1991년 소비에트 연방 해체 이후 패권질서 유지할 실력 없어진 미국 세계체제가 흔들리는 마당에 분단체제 재공고화 성공할지 의문 윤석열정부의 친일행각과 민생·민주주의 파괴 국민의 지혜와 역량 모아 변칙적 사건 빨리 정리해야 Q. ‘변혁적 중도주의’라는 아이디어가 IMF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선명해진 과정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민족문학의 새단계』 「통일운동과 문학」 “87년 6월 이후의 세 가지 시각(NL·PD·BD)이 결합돼야 한다” 『창작과비평』(2019년 봄호) 「변혁적 중도주의와 자유주의」 김종엽 “분단체제론의 실천 노선 변혁적 중도주의는 월러스틴 세계체제론의 맹점에 대한 정당한 지적이 된다” 사회분석의 기본단위를 바꿨지만 실천 부분 취약한 월러스틴 세계체제론 ‘분단체제론’에 입각해 월러스틴 비판한 김종엽 교수의 글 Q. 1998년 봄 ‘IMF시대’라는 인식에 도달하게 되신 계기가 궁금합니다 단기간에 극복한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세계금융위기, 신자유주의 이념의 위기였지만 신자유주의자들 더 득세 IMF시대 미국 중심 신자유주의체제 압력 시작된 단계 남북관계에서 타개책 찾은 김대중정부와 노동·민중운동 탄압에서 찾은 이명박정부 「6월민주항쟁의 역사적 의의와 10주년의 의미」 Q. 6월항쟁 10주년 즈음 이런 글을 쓰신 경위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김대중·김영삼 분열 87년 대선 패배 87년 민주화로 성립된 부분적 민주화체제 PD(민중민주)가 높이 평가하는 것은 87년 7·8월 노동자대투쟁 참여한 세력 뿔뿔이 흩어졌지만 반전 허용하지 않은 남한 사회의 큰 변화 6월항쟁 항쟁과정 함께한 세력들 아우를 담론·사상이 없다는 자기반성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Q. 「하늘을 본 뒤에 무엇을 할까」라는 글의 제목이 함축하는 마음의 자세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4.19혁명에서 ‘처음 하늘을 본’ 두 시인 신동엽, 김수영 촛불대항쟁은 우리 국민 전체가 ‘맑은 하늘’을 본 경험 촛불혁명의 반작용 아니면 설명 안 되는 윤석열정부의 등장 87년헌법은 촛불대항쟁으로 무너진 87년체제의 뒷받침 없는 좀비헌법 변칙적 사건 시정할 국민의 능력 충분해 Q. 선생님의 일관된 급진성의 뿌리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근본적으로 달라진 한반도체제 필요하다는 의미의 변혁 급진적인 단순 이념·노선으로는 안된다는 의미의 중도주의 후천개벽운동의 큰 흐름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분단체제극복운동 Q. 극복, 변혁, 대전환, 개벽 등 선생님의 급진적 입장을 나타내는 어휘를 조금씩 의미를 달리해 쓰신 의도가 있으신가요? 원불교 소태산의 후천개벽사상에서 출발한 공부길 근대 세계체제에 편입된 한반도를 대상으로 한 이중과제론 근대 적응과 극복의 이중과제론, 우리의 후천개벽사상까지 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