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대학교수 선비의 조건/교수의 임무 - 인생성형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선비 #사농공상 #교수 조선은 백성의 신분을 사농공상으로 나누었습니다. 그 가운데 사는 선비로 오늘날 교수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유교에서는 사대부 곧 선비를 이상적 인간으로 보았으나 공자부터가 그 조건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계승범은 '우리가 아는 선비는 없다'에서 선비는 과장되고 왜곡된 이상형 인간이라 하였습니다. 지향적이지만 이상적이어서 그 수준에 오른 선비는 없었다는 견해입니다. 교수는 강의, 연구, 봉사를 그 역할로 삼습니다. 그런데 미국인은 학문을 좋아하여 교수가 되는 반면 우리는 직책을 좋아하여 교수가 됩니다. 다른 직업도 그렇지만 우리는 호칭과 직책을 선호합니다. 그러다 보니 강의와 연구에 소홀하기 쉬우며, 현장성과 적응력이 떨어집니다. 교수가 정치에 관여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흠결 때문에 대부분 실패합니다. 김종영은 '지배받는 지배자'라는 책에서 미국 유학파 교수가 한국에서는 지배자 노릇을 하지만 그는 미국의 지배를 받는다고 하였습니다. 한국에 미국 유학파 교수가 많은데 그들의 속성을 한마디로 정리했습니다. 그 의견이 한국 교수의 실상에 가깝습니다. 사농공상의 행동 원리를 살펴보는 첫머리에서 오늘의 선비에 해당하는 교수를 말했습니다. 그들에게 창의성이 왜 부족하며, 서양의 학문을 비판적 창의적으로 수용하지 못하는 한계도 지적했습니다. 이런 점을 참고하여 여러분이 무슨 일을 하든 창조적으로 일하기 바라며 이 영상을 올립니다. 정형기의 인생성형 http://lif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