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DNA, 데이터 저장소가 되다 - 천홍구 의공학자 [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 천홍구 /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 교수 대한민국 과학을 이끌어가는 과학자들의 연구와 삶을 들여다보며 그들을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여든 일곱 번째 주인공! 천홍구 박사. 정보의 홍수 시대! 매일 쏟아지는 새로운 정보에 대용량 메모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머지않아 급증하는 메모리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이제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데... 메모리 부족 사태의 해답을 생물의 DNA에서 찾은 천홍구 박사! DNA는 지구상의 물질 중 가장 집약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는 하드디스크의 1억 배 이상으로, 무엇보다 데이터를 수백만 년까지 보관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의 모든 데이터를 1kg의 DNA에 다 담을 수 있을 정도인데. 하지만 기존 DNA 메모리 연구는 합성 과정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있었다. 이에 천 박사는 수용액 상태에서 DNA를 빛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DNA 메모리의 실현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오늘도 천 박사의 연구실에서는 더 크고 안전한 대용량의 시대를 열기 위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자신이 아니면 안 되는 독창적인 주제를 찾고, 지금까지 아무도 하지 않은 질문을 던진다는 천홍구 박사. 남이 가지 않은 길을 걸어가는 그만의 독창적인 연구 세계를 들여다보자. #반도체 #데이터저장기술 #DNA메모리 #페타바이트 #DNA합성 DNA, 데이터 저장소가 되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