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비비추 Hosta,무늬비비추 등 원예종 다양하고,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비비추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관엽, 관화식물 즉, 잎 보기와 꽃 보기 식물입니다. 비비추는 크게 두분류로 오래 전부터 야생으로 자라 온 비비추와 무늬비비추를 비롯한 원예종 비비추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반 비비추도 여러 종류로 산기슭의 물가 근처에서 자라지만, 원예종을 포함한 대부분의 비비추는 그늘지고 약간 습하며 시원한 곳을 좋아합니다. 비비추의 땅속줄기는 짧고 단단한 털 모양의 섬유가 둘러싸고 있으며 꽃줄기는 곧게 서서 자랍니다. 잎은 모두 밑둥에서 돋아 비스듬히 퍼지고,가죽질이고 두꺼우며 끝이 뾰족하고, 심장꼴이며 달걀 모양도 있습니다. 잎의 윗면은 광택이 있습니다. 줄기는 잎과 따로 구분되지 않고, 뿌리는 사방으로 뻗어 자랍니다. 꽃은 여름철에 연분홍이나 자주색으로 6월부터 10월까지 종류에 따라 또는 심어진 장소에 따라 꽃피는 시기가 다릅니다. 한 번 보시죠. 일반 비비추인데 지금 이것은 거의 활짝 피었는데 이쪽에 심긴 것들은 조금 늦습니다. 아마 15일 이상은 차이가 날 것입니다. 이 무늬 비비추도 마찬가지로 심겨진 장소에 따라 10일 이상 차이가 납니다. 지금 보시는 것이 좀 작은 종으로 흰줄무늬비비추로 알고 있는데 이것은 7월 중순쯤 돼야 필 것입니다. 흰줄무늬비비추 꽃이 피면 영상으로 보여드릴 수 있도록 준비해 보겠습니다. 일반 비비추든 무늬비비추든 꽃 색깔은 대부분 연분홍색이나 자주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고 모양도 거의 비슷합니다. 향기도 은은하게 풍깁니다. 꽃대를 올려 꽃몽오리부터 시작해서 아래서부터 차례대로 꽃을 피워 올라가는 것을 보면 두 달 정도 꽃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잎에 무늬가 들어 있어 꽃이 없어도 잎만으로도 매력이 있어 관상가치가 아주 높은 식물입니다. 반음지식물이지만 양지에서도 잘 적응하며, 더위나 추위 그리고 습한 것이나 가뭄에도 강해 조경용, 관상용 그리고 큰 나무 밑이나 화단 경계에 지피식물로도 많이 이용됩니다. 비비추의 꽃말은 신비한 사랑, 좋은 소식, 하늘이 내린 인연이라고 합니다. 비비추키우기 비비추는 봄에 싹이 터서 자라다가 여름에 잎이 무성해지면 꽃대가 올라와 꽃대 끝에 여러 송이의 연분홍이나 자주색 꽃을 피웁니다. 중부 이남지역에서는 노지월동도 가능합니다. 겨울에는 땅 위에 있는 부분은 시들지만, 땅속 줄기가 살아서 이듬해에 새순이 나옵니다.. 촉촉하고 부식질이 풍부한 토양을 좋아하지만, 노지에서는 토양을 별로 가리지 않아 관리가 편하고 , 환경 적응성이 좋아서 옮겨심기가 쉽습니다. 물주기나 거름주기는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정원의 화단이나 암석정원의 바위틈, 공원 등지에 조경용으로 심기에 적합한 식물이지요. 비비추를 화분에 심을 때에는 뿌리 뻗음이 왕성하기 때문에 화분이 클수록 좋고, 용토는 크게 가리지 않으므로 부엽, 마사, 배양토 등을 적절하게 섞어 사용하면 됩니다. 일반 비비주와 무늬비비추 모두 좋아하는 환경이나 번식하는 방식이 거의 비슷하고, 특별한 병층해를 입지 않아 키우기 쉬운 꽃이지요 무늬 비비추나 컬러 비비추는 일반 호스타 종류 중에서 작은 종이기 때문에 화분에 키우워도 아주 예쁘답니다. 비비추 번식 비비추의 번식은 씨앗 번식과 포기나누기로 합니다. 꽃이 지고나면 삼각형의 긴 열매가 생기는데 가을에 검은색 날개가 달린 씨가 여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잘 익은 씨를 받아 바로 뿌리거나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봄에 파종하면 됩니다. 겨울 추위에 휴면을 시켜야 발아할 수 있다는 데 유의해야 합니다. 포기나누기는 포기에서 곁눈이 나와서 퍼지기 때문에 늦가을이나 이른 봄 싹이 트기 전에 캐내어 싹을 두세개씩 쪼개어 심으면 됩니다. 비비추는 요즘에는 조경. 원예 식물로 더 알려져 있지만, 몸에 좋은 성분이 많아서 식용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었다고 합니다. 어린 잎은 쌈 채소로 먹어도 되고, 살짝 데쳐서 나물로 먹으면 된다고 합니다. 재배채소처럼 연하고 향긋하며 매끄러우면서도 감칠맛이 나고, 일반 산나물의 쓴맛이나 떫은 맛, 억센 섬유질 등의 단점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내년 봄에는 꼭 한 번 먹어 볼 생각입니다. 그리고 가을에 채취한 뿌리는 잘 씻어서 말린 후 차처럼 우리거나 달여서 먹어도 몸에 좋답니다. 비비추에는 사포닌, 아데노신, 트립토판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해독. 해열. 지혈. 혈액순환. 면역력 증진, 임파선, 인후염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특히 염증과 뱀에 물린데 전초를 찧어 붙이면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