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인도불교의 사상과 역사 - 45. 밀교의 발생과 특징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인도불교의 사상과 역사 - 45. 밀교의 발생과 특징 밀교경전에 대한 분류(부뙨: 1290-1364) 초기밀교(4-5세기) ① 소작 딴뜨라: 제단의 조성법, 공물의 조달법 등 기초적인 작업에 대해 기술 소실지경, 소파호동자경 중기밀교(7세기) ② 수행 딴뜨라: 특정한 존격과 만다라의 제존에 대한 구체적인 예배법 대일경, 금강수관정경 5상성신관: 다섯 단계의 명상법을 통해 우주의 진리인 대일여래가 됨 금강계 만다라: 5상성신관의 불보살을 만다라로 표현한 것, 중앙에 지권인을 한 대일여래가 위치한다. 후대에는 전법륜인으로 바뀜. 이취경 ③ 유가 딴뜨라: 삼밀행, 즉 진언, 인계, 만다라를 통해 자신이 대일여래임을 자각 금강정경, 이취경 대일여래가 선정인을 하고 만다라의 중앙에 위치한다: 우주에 편만하는 진리의 당체. 태장만다라, 대비태장만다라의 세계를 표현한다: 자궁과 같이 모든 것을 생산해 내는 근원, 여래자비의 근원에서 모든 불보살이 모습과 형태를 달리하여 출생함으로써 우리를 구제해 준다. 후기밀교(8세기 후반에서 9세기에 걸쳐 출현) ④ 무상유가 딴뜨라 비밀집회딴뜨라, 헤바즈라딴뜨라, 삼바라딴뜨라, 깔라짜끄라딴뜨라 생기차제와 구경차제의 2차제를 수습하는 교리와 실천 생기차제: 법신의 현현을 유가행자가 관상한다.(방편부) 구경차제: 유가행자가 법신에 융합해 가는 과정을 관상한다.(반야모) 생기차제와 구경차제의 쌍수가 궁극적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