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戒(경계할 계)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9개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戒(경계할 계: 경계하다, 삼가다, 훈계, 재계(齋戒)하다, 알리다)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戒(경계할 계)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19개] 1) 戒急乘緩(계급승완): 계(戒)를 지키기에만 힘쓰고, 지혜 닦기에는 힘쓰지 아니함. 2) 斷機之戒(단기지계):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3) 齋戒沐浴(재계목욕): 신불(神佛)에게 제사(祭祀)를 드리기 전(前)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爲)하여 음식(飮食)이나 행동(行動)을 삼가고 몸을 깨끗이 씻음을 이르는 말. 4) 止足之戒(지족지계): 그치고 만족하는 경계라는 뜻으로, 자신의 분수를 알아 만족할 때 만족하여 더 이상 욕심을 부리지 않는 일의 의미. 5) 免官懲戒(면관징계): 관리로서의 신분을 박탈하고 징계함. 또는 그런 처분. 6) 戒足(계족): ‘계’를 달리 이르는 말. 사람 몸의 발과 같이 계가 불자를 열반에 이르게 한다는 뜻이다. 7) 三戒(삼계): (1)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계. 청년 시절에는 여색을, 장년 시절에는 투쟁을, 노년 시절에는 이욕(利慾)을 경계하여야 한다는 공자의 교훈이다. (2)부처의 세 가지 계율. 재가계, 출가계, 도속 공수계를 이른다. 8) 世俗五戒(세속오계): 신라 화랑(花郞)의 다섯 가지 계율. 진평왕 때에 원광(圓光)이 정한 것으로, 사군이충ㆍ사친이효ㆍ교우이신ㆍ임전무퇴ㆍ살생유택을 이른다. 9) 前覆後戒(전복후계): 앞에서 전복되면 뒤에서 경계한다는 뜻으로, 앞 수레의 전복이 뒷 수레의 경계가 되듯이 앞사람의 실패를 보고 뒷사람은 경계를 삼아야 한다는 의미. 10) 沐浴齋戒(목욕재계): 제사나 기원하는 일에 앞서서 부정을 타지 않도록 몸을 깨끗이 씻고 몸가짐을 다듬는 일. 11) 自肅自戒(자숙자계):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심하고 경계함. 12) 前車覆後車戒(전차복후차계): 앞에 가는 수레가 엎어지면 뒤에 가는 수레는 그것을 보고 교훈(敎訓)을 삼는다는 뜻으로, 앞 사람의 실패(失敗)를 교훈(敎訓)으로 삼는다는 뜻. 13) 戒旦(계단): (1)날이 샘을 알려 잠을 깨게 함. (2)희미하게 밝아 오는 새벽. 14) 戒門往生(계문왕생): 계율을 잘 지킨 공덕으로 극락에서 태어남. 15) 佩鈴自戒(패령자계): 방울을 차서 스스로를 경계한다는 뜻으로, 나쁜 습관을 고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자세의 의미로 조선 중기의 문인 이상의(李尙毅)의 어린 시절의 일화에서 유래함. 16) 一罰百戒(일벌백계):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하여 본보기로 한 사람에게 엄한 처벌을 하는 일을 이르는 말. 17) 破戒無慙(파계무참): 계율을 어기면서도 부끄러워함이 없음. 18) 戒身(계신): (1)몸가짐을 삼가며 조심함. (2)오분법신(五分法身)의 하나. 소승 불교에서, 부처의 몸의 한 부분을 이르는 것으로,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의 오법 가운데 ‘계’를 부처의 몸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19) 覆車之戒(복거지계): 앞의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뜻으로,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기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戒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