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줌 인 피플] 본초학 전문가…나는 약초 연구 '최고야' / YTN 사이언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 최고야 / 한국한의학연구원 박사 [앵커] 본초학은 질병 치료에 쓰이는 식물·동물·광물계에서 얻은 한의학 물질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공장에서 제조하는 현대 약물과는 달리, 한약재는 자연에서 재배하고 채취하는데요. 오늘 (줌 인 피플)에서는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최고야 연구원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박사님께서는 원내에서도 본초학에 정통한 그야말로 최고인 전문가로 꼽히신다고요. 어떤 일을 하시는 건가요? [인터뷰] 저희는 본초라고 하는데 일상적인 용어로 말하자면 약초입니다. 우리나라 전통 약물요법을 한약이라고 하죠? 이 한약에 들어가는 원료를 한약재라고 합니다. 한약재에는 인삼, 당귀 같은 식물성 약재가 많고 그중에서도 주로 뿌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근본 본 자에 풀 초 자 해서 본초라고 부릅니다. 약초, 한약재, 본초 다 비슷한 말이죠. 본초학은 이 본초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루는 학문인데요. 동의보감 같은 고전 의서에서 뭐라고 기록했는지, 우리나라에서 옛날부터 사용한 약용식물은 무엇인지, 비슷비슷한 약용식물 혹은 한약재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가공·저장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한약재에 어떤 성분이 있고 어떤 약효가 있는지,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분해·흡수·대사되는지 등등 여러 가지 연구 분야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제가 주로 연구하는 것은 한약재 감별인데요. 공장에서 합성하는 현대 약물과는 다르게, 한약재는 자연에서 재배하고 채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통하는 과정에서 또는 소비자들이 사용할 때 비슷하게 생긴 다른 약재를 잘못 사용하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 한약재를 원료로 해서 한방제제나 건강식품을 만들 때도 이 원료가 되는 한약재가 잘못된 게 들어가서 경제적인 손실을 일으킬 수도 있죠. 이런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약재 감별 연구가 필요합니다. [앵커] 본초학 연구에 대해서 알려주셨는데 본초학을 전공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인터뷰] 대학원 입학 당시, 침을 놓는 혈자리에 대한 학문인 경혈학을 전공할까 했는데요. 그때 대학원에 같이 올라간 제 친구가 경혈학을 하고 싶다고 해서 '그럼 나는 본초학으로 갈게' 하고 사실 별 고민 없이 선택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해보니까 적성에 맞아서 본초학을 택하길 잘한 것 같습니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본초학이라는 게 그 자체로 융합 학문입니다. 고전 의서를 알아야 하니까 한문을 당연히 해야 하고, 천연물을 약으로 사용하니까 식물학·동물학·광물학도 알아야 하고요. 한약이란 게 수천 년이 동안 아시아 전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진 약물요법이니까 역사와 지리도 좀 알아야 하고요. 과학적 연구를 해야 하니까 천연물화학, 약리학, 유전자분석 이런 것도 개념 정도는 파악하고 있어야겠죠. 다행히 저는 한문과 지리, 역사를 좋아하는 문과 출신인 데다, 수박 겉핥기식으로 이것저것 아주 잡다하게 공부하는 편이라, 본초학이 적성에 맞았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본초학 하는 사람은 카메라 하나 들고 산으로 들로 자연으로 가서 약용식물 관찰하고 채취하고 하는 게 일상인데요. 제가 또 어릴 때부터 등산하고 사진 찍는 걸 좋아해서 역시 적성에 맞더라고요. [앵커] 그런데 본초의 종류가 수천 종에 이르지만 실제로 처방에 사용되는 수는 200∼300종밖에 되지 않고, 그 중에도 중요하게 상용되는 것은 100여 종에 불과하다고요. 대표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인터뷰] 우리나라 동의보감에 1,400가지, 명나라 본초강목에는 한 1,800가지, 그리고 현대 중국에서 나온 중화본초라는 책에는 ...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