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CBS 뉴스] 코로나 19 이후 한국교회 회복하기 위해서는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CBS 뉴스] 코로나 19 이후 한국교회 회복하기 위해서는 코로나 19가 엔데믹을 향해 가면서 한국교회 회복을 기대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한국 교회가 침체를 딛고 일어서려면 교회 본질을 회복하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더불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승규 기자의 보돕니다. 무종교인과 가나안 교인의 급속한 증가. 교회의 신뢰도 하락 등은 현재 한국교회가 위기임을 보여주는 징후입니다. 이에 더해 교인 수와 헌금 감소, 교회 공동체 건강성 약화, 교회 양극화 등은 우리 미래를 더욱 암울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19는 수 년 전부터 위기였던 교회 상황을 더욱 힘들게 만들었습니다. 엔데믹 상황으로 접어든 현재 많은 교회가 코로나 19 이후를 준비하며 회복과 부흥을 기대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을 지낸 임성빈 교수는 코로나 19 이전으로 회복과 부흥을 말할 때 교인 수와 헌금 등 숫자의 회복을 기대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임성빈 교수 / 장로회신학대학교 "우리 교인 숫자와 헌금의 회복 숫자의 회복과 숫자의 부흥이라면 제가 볼 때는 그건 불가능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여러 가지 징후를 미뤄봐서. 실제로 대부분의 교회는 회복이 안 됐습니다." 그렇다면 한국교회는 이대로 무너질 것인가. 임성빈 교수는 전제 조건을 내걸며 여전히 희망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임 교수가 제시한 전제 조건은 물질 중심 문화에서 생명 중심 문화로의 전환입니다. 교회 회복을 바랄 때 교인 수와 헌금 액수 등 숫자의 회복을 바라면 안 된다는 이야기와 맥을 같이 하는 주장입니다. 교회와 개신교인의 숫자가 많지만, 여전히 한국 사회는 돈을 우선시하고 있다며, 교회가 앞장서 이를 바꿔야 한다는 겁니다. 임성빈 교수 / 장로회신학대학교 "지금 우리나라가 출산율 제일 꼴찌고 자살률 1위라고 하잖아요. OECD 국가 중에. 이건 뭐냐. 가장 중요한 생명이 생명의 가치와 생명의 문화를 기독교인이 19.7%나 되는 나라가 못 이루고 있다. 이것이 중요하다고 심지어 우리 신앙인들마저 생각하지 않고 있고, 실천하지 않고 있다." 임 교수는 한국교회 위기는 코로나 19로 드러난 일시적인 요인이 아니라면서도 구슬 서말을 하나로 꿰는 심정으로 우리의 신앙을 점검할 시기라고 말했습니다. 교회가 본질 회복을 위해 먼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CBS 뉴스 이승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