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미얀마 대지진과 불교 공동체 현황, 인사이드 월간 불광 첫번 째 심층 분석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월간 불광이 교계 안팎의 주목할만한 주제를 가지고 유튜브를 통해 만납니다. 인사이드 월간 불광, 그 첫째 시간은 미얀마 불교문화 연구소 소장 정기선 박사와 함께 지난 3월 28일 미얀마 만달레이와 사가잉 지역에서 발생한 진도 7.7~7.9 규모 대지진의 피해 상황과 불교 공동체의 현황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만달레이 대지진의 피해 규모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명 피해: 사망 5,300여 명, 부상 7,000여 명, 실종 500여 명 (미얀마 기준). 특히 수도 네피도 정부 청사 붕괴로 근무중이던 공무원 600여 명 사망. 인접국 태국에서도 51명 사망. 주택 피해: 약 12만 채 파손, 4만 8천여 채 완파. 불교 문화유산 피해: '황금의 나라' 미얀마의 상징인 불교 문화유산 피해 극심. 만달레이/사가잉 지역 종교시설 8,300여 곳 전파 혹은 반파. 유명 불탑과 사원 피해 : 카웅무도 파고다, 신뷰메 파고다, 마하 아웅미아 본잔 수도원 등 크게 훼손. 마하무니 불상: 최고 성보인 황금 불상도 보관 손상 등 피해 발생. 수도원의 비극적 참사 : 빨리(Pali)어 시험 중이던 스님 270여 명 중 약 200여 명이 수도원 건물 붕괴로 매몰되거나 사망. 구조와 복구는 열악한 통신 전력, 장비 부족, 군부의 비협조 및 내전 지속으로 구조 및 복구 작업이 매우 더딤. 특히 사가잉 지역은 접근조차 어려운 곳이 많음. 종교 활동: 스님들의 일상적인 탁발 행렬이 거의 중단됨. 구호 활동: 사찰들이 임시 피난처 역할을 하고 있으나, 정부 통제 등으로 구호품 전달이 어려워 개인과 사찰 단위의 직접 지원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 이번 지진으로 미얀마 불교 공동체가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했으며, 국제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얀마 #월간불광 #지진 ◇ 불광 블로그(공식) : https://blog.naver.com/bulkwanger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bulkwang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bkbooks79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http://www.bulkw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