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36계: 제5계 진화타겁(趁火打劫) 불난 틈을 타서 공격하고 빼앗다(12분)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제5계 진화타겁(趁火打劫) 불난 틈을 타서 공격하고 빼앗다 불난 곳에 기회가 있다 소극적 기다림으로 성공이 오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성공은 모두 적극적이고 주동적으로 쟁취하는 것이다. 따라서 경쟁 과정에서 일단 기회가 오면 주동적으로 출격하여 자신의 성공을 쟁취해야 한다. 주동적으로 출격하려면 모든 맥락을 세밀하게 관찰할 줄 알아야 한다. 모든 맥락 하나 하나에 최후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맥락들에서 성공에 유리한 요소를 일단 발견하면 과감하게 출격하여 성공에 확실한 쐐기를 박아야 한다. “불난 틈을 타서 공격하고 빼앗는다. 적의 피해가 클 때 그 기세를 이용하여 이익을 취해라. 강한 양의 기운이 부드러운 음의 기운을 압도한다.” ‘진화타겁’의 원래 뜻은 화재가 발생해서 모두들 정신이 없는 틈을 타서 물건을 훔친다는 것이다. 남의 위기를 틈타 무엇인가를 건지는 이런 짓은 부도덕한 행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계책이 군사에서는 대개 전투 기회를 선택할 때 활용해왔다. 손자병법 「계편」에서는 “혼란스러울 때 취하라”고 했고, 당나라 때 사람 두목(杜牧)은 십일가주손자(十一家注孫子)에서 보다 분명하게 “적에 혼란이 생기면 놓치지 말고 (원하는 바를) 취하라”고 했다. 둘 다 적의 위기를 틈타 승리를 쟁취하라는 뜻이다. ‘진화타겁’은 36계 ‘승전계’의 다섯 번째 계책에 올라 있다. #36계 #승전계 #진화타겁 ##임기응변 #수를_내라 #좀알자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