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윤석열내란 진압 1주년 특집 01] 한반도 분단 현실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대한민국의 나아갈 길 제시한 분단체제론 완벽 정리 -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 이지영 편 통합본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이지영 창비 출판1본부장 백낙청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명예교수 / 『창작과비평』 명예편집인 이 영상은 2023년 9월 14일 녹화한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 이지영 편 통합본입니다. 백낙청 교수의 분단체제론이 담긴 최초의 단행본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1994) Q. 분단체제에 대한 오해와 좁은 수준의 이해에 머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1992년부터 본격적으로 제기해온 ‘분단체제론’ 하나의 분단체제 아래 성장하고 성취 이뤄온 남과 북 분단체제 대치상태 이용해 공생관계 이뤄온 남북 기득권층 분단사회의 현실과 특징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고 바꾸기 위해 주장한 분단체제론 Q. 이론과 실천 중에서 우리가 좀더 연마하고 힘써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요? 분단체제론은 이론과 실천 함께가는 담론 표현한 것 한반도, 남과 북, 세계체제 전체의 현실을 각각 총체적·체계적으로 파악해야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에서 시작돼 이미 진행 중인 분단체제 극복 위한 ‘국가연합’ 과제 Q. ‘통일을 배제한 평화공존’을 주장하는 최근의 흐름에도 여전히 국가연합이 최선의 방안이라 생각하시나요? 세계무대에서 별개의 주권국가 인정한 1991년 9월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잠정적 특수관계’ 인정하고 ‘국가연합’ 구상에 합의한 1991년 12월 남북기본합의서 노태우 대통령 때부터 우리정부 공식노선은 국가연합 Q. 선생님께서는 근래의 통일의식조사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남북연합은 통일의 개념을 바꾸는 작업 자유왕래 가능하게 할 국가연합 예시 없는 여론조사 문항 현실성 떨어져 아주 느슨한 남북연합일지라도 한반도의 독특한 현실에서는 ‘1단계 통일’에 해당 북한의 2국가 인정은 남북연합에 한발 더 다가간 셈 Q. 윤석열정부가 극단적으로 나아가는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윤석열정부는 이명박·박근혜 때와도 질적으로 다른 우리 역사의 퇴행 국면 87년체제는 2017년에 이미 끝났지만 반쯤 죽은 87년 헌법은 살아있는 혼란한 상황 우리 역사의 ‘변칙적 사건’으로 등장해 5년 임기 마치고 물러날 생각 없었던 윤석열 “87년체제식 정권교체는 더 이상 없다” 절대 다시는 정권 내주지 않겠다는 꿈 꿔 ‘헌정 중단상태’ 끝내고 민주공화국 질서 회복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