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하나회' 청산에서 IMF까지…문민정부 '명암' / SBS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김영삼 전 대통령은 취임하자마자 정치적 결단을 통해 각종 개혁조치를 잇따라 쏟아냈습니다. 군정 종식과 문민정부를 표방한 김 전 대통령은 1993년 3월, 취임 열이틀 만에 군내 최대 사조직 하나회의 핵심 회원이었던 김진영 육군 참모총장 등을 전격적으로 교체했습니다. 이 조치를 계기로 하나회가 군에서 자취를 감추게 됐습니다. [김영삼 前 대통령/2009년 SBS 한국현대사 증언 : 하나회를 청산 안 했으면 김대중·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이) 대통령이 안 됐을 겁니다.] 취임 첫해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실명제 실시를 발표해 부패 차단과 과세 형평성을 확보한 점도 치적으로 꼽힙니다. [금융실명제 실시 특별담화/1993년 8월 : 금융실명제가 실시되지 않고는 이 땅의 부정부패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가 없습니다.] 역사 바로 세우기를 외치며 5.18 특별법을 만들어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을 법정에 세웠습니다.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공개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해 도덕성이 고위공직자가 갖춰야 할 덕목으로 자리 잡게 했습니다. 하지만 역점 사업으로 추진했던 OECD 가입은 급속한 자본 유출입을 허용했고 정부는 1997년 1월 한보철강 부도, 7월 기아차 부도사태를 통해 위기관리능력 부재를 드러내고 말았습니다. 결국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은 문제가 없다는 말만 반복하던 김영삼 정부는 1997년 말 끝내 IMF에 200억 달러의 자금 지원을 요청하기에 이릅니다. [IMF 관련 대국민 담화/1997년 12월 : 이 자리를 빌려 분명히 말씀드리거니와 이번 사태의 모든 책임은 대통령인 저에게 있습니다.] 외환위기를 막지 못한 책임과 함께 임기 말 불거진 차남 현철 씨의 국정개입 논란과 개인 비리는 김영삼 정부 개혁 조치들의 빛을 가려버린 그림자가 되고 말았습니다. ▶ SBS NEWS 유튜브 채널 구독하기 : https://goo.gl/l8eCja ▶대한민국 뉴스리더 SBS◀ 홈페이지: http://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