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팩 한국사 82회] 신라 김춘추는 어떻게 나당연합을 이루었나? feat 무열왕의 탄생과 이세민의 최후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신라의 김춘추는 왜(일본)에서조차 연합을 이끌지 못하고 문전박대를 당하자 마지막 선택의 귀로에 서 있었다. "이제 남은 희망은 당나라 뿐이다. 고구려에 크게 패하였으니 당나라도 우리 신라를 더 이상 무시 하지만은 않을것이다. 나는 당나라로 가 목숨을 걸어서라도 나당연합을 이끌 것이다." 648년 12월 김춘추는 당으로 건너갔다. 당태종 이세민은 춘추의 외모가 영특함을 보고 후하게 대접하였다. "신라에서 이곳까지 무슨일이 있어 왔는가?" "우리 신라에서는 직위고하를 막론하고, 또한 남녀노소를 통틀어 당나라의 선진문물을 동경하지 않는 사람이 없사옵니다. 신이 직접 온 까닭은 그러한것들의 가르침을 받고 우리신라 백성들에게도 폐하의 은혜와 온정을 전하고자 하옵니다.!" 고구려에 비하면 한껏 자신을 낮추고 당나라를 추켜세우니 이세민은 입가에 미소가 번지는것을 감출수가 없었다. "오호... 우리 당의 선진문물을 그렇게 배우고 싶단 말이지?" "그렇습니다. 해서 신라의 장복(章服)을 고쳐서 중국의 제도를 따를 것을 청하옵니다" "그대가 신라의 다음왕이 될 수도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런 그대가 단지 이를 허락받기 위해 수고로움을 무릎쓰고 이 먼길을 찾아왔단 말인가?" "또 있습니다. 당의 국학(國學)을 방문하여 석전(釋奠)과 강론(講論)을 참관했으면 하옵니다." "국학은 왜 방문하고 싶은것이냐?" "당의 가르침을 전하는데 교육제도를 본받는것이 가장 합당한 일이라 사료되옵니다." 김춘추의 납작 엎드린 화술에 이세민은 입이 귀에 걸릴 지경이었다. 크게 기뻐하며 김춘추에 특진(特進) 벼슬을 주며 환대했다. 김춘추는 당에 머무는 동안 고위직 신료들과도 일일이 찾아가 인사를 나누었으며, 하나같이 그의 세련된 언변과 용모에 반하며 돈독한 친분관계를 맺었다. 그러던 어느날 당태종은 홀로 술잔을 기울이다 문득 김춘추가 생각나 아래사람에게 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