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정관장은 조선총독부 브랜드?…일제잔재 논란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정관장은 조선총독부 브랜드?…일제잔재 논란 [앵커] 건강선물로 인기를 끄는 한국인삼공사의 '정관장'. 그 뜻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지만 익숙한 상표입니다. 그런데 그 이름의 유래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경태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인삼공사의 대표상표 '정관장'. 인삼공사가 만든 브랜드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겁니다. 인삼을 통제하던 조선총독부 전매국이 사제 홍삼과 구별하기 위해 만든 건데, '조선총독부 관할 공장에서 만든 진짜 관제품'이란 뜻이었습니다. 이 문제가 해방 70년도 지난 지금 문제가 된 것은 공사와 한 인삼재배업자간 갈등 때문. 전북에서 인삼을 재배하는 60대 문모씨가 정관장 상표는 조선총독부가 인삼 독점으로 전매수익을 올리기 위해 만든 것이란 내용을 담은 인쇄물을 배포했다 인삼공사로부터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법원의 판결은 문씨의 무죄. 재판부는 "조선총독부가 정관장 용어를 만든 궁극적 목적은 관제 홍삼의 판매를 통한 수입확보로 볼 수 있다"며 문씨의 주장이 허위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홍삼의 전매제, 즉 판매와 생산의 국가독점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계속되다 1996년 폐지됐습니다. 하지만 재무부 전매국, 전매청, 한국전매공사에 이어 1988년 한국담배인삼공사로 담당기관의 이름이 바뀌어도 '정관장 홍삼' 상표는 그대로였습니다. 이에 대해 인삼공사측은 확정판결이 아닌 만큼, 공식 입장을 밝힐 단계가 아니라며 브랜드 교체 가능성에 대해선 논의된 게 없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이경태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email protected] (끝)